기러기 가족 현상을 뒤르케임의 아노미 이론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교육현실과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의미를 알아본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러기 가족의 실태
(2) 뒤르케임의 아노미 이론으로 본 한국사회구조
(3) 한국교육현실의 아노미 상황과 일탈행위로서의 기러기 가족
3. 결론
본문내용
물론 그 근본적인 원인은 부실한 교육현실에 있겠지만, 일탈행위 자체는 경쟁력 떨어지는 공교육의 비효율성과 지나친 경쟁위주의 사회구조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러기 가족은 표면적으로 자녀들에게 좀 더 좋은 교육환경에서 제대로 된 영어교육 및 사회기반을 확립해 주고자하는 부모의 바램만을 포함하고 있지만, 여기에는 기회만 된다면 자녀가 한국사회를 아예 떠나 새로운 사회에 정착하길 바라는 바램까지 포함되어 있다고 봐야 옳을 것이다. 또한 기러기 가족은 그 주도층이 주로 고급공무원, 기업 간부, 교수 등 사회지도층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사회지도층일수록 가치관 혼란으로 인한 한국사회의 모순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또 그것에서 벗어날 경제적 여유를 갖고 있을 확률도 높다. 때문에 이들 계층에 의해 기러기 가족이 주도되고 있으며, 사교육의 확산과정과 마찬가지로 점차 일반계층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지도층에서 먼저 한국사회의 모순을 인정하고, 한국사회의 근본적인 규범이 흔들리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과 같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속담처럼 이들의 일탈행위는 다른 계층에서의 일탈행위 보다 한국 공교육의 입지를 약화시키는 더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한국사회에 새로운 교육가치관이 자리 잡는 시기를 늦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