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과정>은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詞)’충신이 임금을 사모하는 노래. 충신연군지사의 기본적 틀 : 님에 대한 강렬한 충성을 노래 -> 결백을 하소연 -> 님의 사랑을 간절히 바람
로 분류되었는데 그에 따른 이견이 없었다. <정과정>이 여요중에 유일하게 작가와 연대가 명확히 밝혀져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작품을 분류할 때 작가와 연대가 분명한 작품은 그것(작가와 연대)에 비추어 해석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작가와 연대가 불분명한 작품을 나름의 상황에 맞추어 단순하게 표면적으로 해석하는 태도는 위험하다고 본다. <정과정>처럼 명확한 작품을 기준으로 나머지 작품들에 대해서도 신중히 살펴보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고려사」에서 밝힌 <정과정>의 배경과 해석을 살펴보고 그와 관련해서 나머지 작품들의 성격분류에 대해 짚어보기로 하겠다.
2. 본론
1)작품의 등장 배경
<정과정>의 작가인 정서는 인종과 동서지간으로 오랜기간 총애를 받았다. 하지만 외척파였던 정서를 못마땅해 하던 궁중파 권신들은 의종이 왕위에 오르자 외척파를 숙청하면서 의종을 이용해 정서를 동래로 유배 보낸다. 그러자 의종은 정서에게 머지 않아 다시 부르겠노라고 약속한다. 그러나 임금은 다시 불러주지 않았고, 그에 정서는 자신의 결백함을 호소하고, 임금이 다시 불러주기를 바라면서 이 노래를 지었던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