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론] 세계문자들의 생성과 소멸
- 최초 등록일
- 2005.11.02
- 최종 저작일
- 1997.01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세계문자들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자료입니다. 참고문헌 및 각주 충실히 달아놓았습니다. 많은 이용바랍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문자의 본질
1. 문자의 개념
2. 문자의 가치
Ⅲ. 문자의 기원과 발전
1. 문자의 기원
2. 문자의 발전
Ⅳ. 문자의 역사
1. 문자의 생성
2. 수메르의 설형문자(楔形文字, cuneiform)
3. 이집트의 신성문자(神聖文字, hieroglyph)
4. 중국의 한자(漢字)
5. 알파벳 혁명
6. 문자의 소멸
Ⅴ. 맺음말
본문내용
프랑스의 언어학자 페브리에(J. G. Février)는 문자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문자란 분절적이며 본질적으로 순간적인 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수단, 즉 말을 적어 나타내는 것이요, 말과 그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했다. 첫째로 문자를 말을 고정화하는 것, 즉 입말을 기호화 ․ 시각화한 것이며, 둘째로 문자는 분절적 음성으로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부호나 표지는 엄밀한 의미에서 문자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들은 음성면에서 고정되었다고 말할 수 없고, 또한 분절적 음성으로 재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로 문자는 시각적 기호에 의한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규약적 ․ 인습적 체계를 총칭한다. 인간의 가장 오랜 보편적인 정보전달 수단은 말과 몸짓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공통적인 결점은, 그 기능이 시간과 공간에 의해서 제약된다는 것이다. 사상이나 감정을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약되지 않는 방법으로 표현, 전달코자 하는 필요성이 인간으로 하여금 문자를 만들어내게 한 것이다. 결국 문자란 한 언어사회의 관습적 체계인 것이며, 언어의 흐름 가운데 일정한 분절에 해당하는 시각적 기호로서 문자표상이 되어 인간의 머리에 기억된다. 이러한 문자표상이 의미와 시각영상의 결합체인 언어단위와 결합되고, 다시 문자와 개념이 혹은 문자와 청각영상이 결부되는 것은 언어의 구체적인 면에 불과하며, 언어의 본질적인 기능은 아니다. 문자의 특성을 몇 가지로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자는 하나의 평면적 형태를 이룬다. 선(직선 ․ 곡선 ․ 사선 등)과 점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도시(圖示) 형태를 구성하며 시각적 영상을 이룬다.
둘째, 문자는 언어사회에 있어서 사회성과 관습성 그리고 규약성을 지닌다. 문자체계도 음성기호체계와 같이 자의적이며, 어떤 언어사회의 규약으로서 이루어진 전통적 ․ 관습적 성격을 지닌다.
참고 자료
김진호, 『언어학의 이해』, 역락, 2004.
이건수, 『언어학개론』, 신아사, 2000.
이철수 김준기, 『언어와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0.
조두상, 『문자학』, 부산대학교출판부, 1998.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시공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