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디지털도서관에 관한 조사
- 최초 등록일
- 2005.11.01
- 최종 저작일
- 2003.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 및 특징
2. 디지털 정보서비스와 이용자서비스
3. 기존의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비교
4.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의 정보서비스 현황과 과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선 디지털 도서관(Digital Library)은 전자 도서관(Electric Library), 가상 도서관(Virtual Library), 전자디지털 도서관(Electric Digital Library) 등으로 표현되며, 전통적인 도서관의 각종 정보 및 서비스 등을 디지털화한 가상의 도서관을 구축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서관의 정보 이용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해서 디지털 도서관에 접속을 하게 되고, 디지털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검색엔진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정보가 어디에 위치하는 가에 무관하게 원하는 정보의 검색 및 제공 기능을 빠르고 쉽게 제공해준다. 따라서 정보의 이용자는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도서관에 대해 조사하며,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의 이용자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기존의 도서관 환경에서의 이용자 서비스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디지털도서관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Ⅱ. 본론
1.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 및 특징
1)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
디지털 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을 대신하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전통적인 도서관 기능의 다각화, 확장을 의미한다.
도서관이 소장, 제공하는 정보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는 인쇄물 형태에서 다양한 유형의 전자매체를 이용한 전자정보로 그 범위가 광범위해졌고, 이들 정보를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공유하게 되므로 이용자서비스 또한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즉, 디지털도서관이 추구하는 기본목표는 변함이 없지만 이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이 달라진 것이다.
Kennethe E. Dowlin은 구체적인 전자도서관모형을 제시하면서 디지털 도서관의 기 능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참고 자료
- 정필모, 『문헌정보학원론』, 구미무역출판부, 2001년, pp.90~100
- 윌리엄암스, 남태우/이병기 공역,『디지털도서관의 이해』, 한국디지털도서관포럼,
2002년, pp.201~227
- 정진식외,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한국도서관협회, 2002년, pp.68~88
- 최은주외 공역,『정보기술과 도서관정보서비스』, 구미무역출판부, 1998년,
pp.186~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