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0.1N-HCl, 0.1N-NaOH 표준용액을 적정분석을 이용해서 제조했다. 목적성분이 포함된 시료로 지시약을 가한 표준용액에 적정하는데 용액의 색이 조금이라도 변하면 적정반응이 종말점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순수한 표준물질로 행해지는 1차 표정을 통해 0.1N-HCl 표준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HCl의 양(ml), 0.1-N-NaOH 표준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NaOH의 양(ml), 표준용액인 0.1n-HCl을 사용하는 2차 표정에서 사용된 NaOH의 양은 적정반응이 종말점에 도달한 순간까지 소비된 각각의 표준용액의 부피를 뜻한다. 그러나 실험 값(실제농도, N)과 이론 값(목표농도, 소정농도, N0)은 일치하지 않는다. 이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해 규정도계수(factor, f)를 사용한다. 이는 질량분변의 법칙(농도=질량/부피)에 의해 f=N/N0=V0/V 로 계산된다. f값이 1보다 크면 원하는 농도보다 진하게 제조되었고, 1보다 작으면 원하는 농도보다 묽게 제조되었다는 것이다.
목차
1. 제 목
2. 요 약
3. 서 론
● 적정분석(titrimetric analysis)
▷ 적정의 요건
▷ 산-염기 적정(acid-base titration)
● 표준용액(standard solution)
▷ 표준용액의 조건
▷ 표준용액의 조제 방법
● 당량점과 종말점
● 지시약(indication)
▷ 지시약의 종류
● 농도의 종류
노르말농도를 사용하는 이유
규정도계수(factor, f)
4. 재료 및 실험 방법
5. 결과 및 고찰
▷ factor값을 1로 보정하는 방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요 약
0.1N-HCl, 0.1N-NaOH 표준용액을 적정분석을 이용해서 제조했다. 목적성분이 포함된 시료로 지시약을 가한 표준용액에 적정하는데 용액의 색이 조금이라도 변하면 적정반응이 종말점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순수한 표준물질로 행해지는 1차 표정을 통해 0.1N-HCl 표준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HCl의 양(ml), 0.1-N-NaOH 표준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NaOH의 양(ml), 표준용액인 0.1n-HCl을 사용하는 2차 표정에서 사용된 NaOH의 양은 적정반응이 종말점에 도달한 순간까지 소비된 각각의 표준용액의 부피를 뜻한다. 그러나 실험 값(실제농도, N)과 이론 값(목표농도, 소정농도, N0)은 일치하지 않는다. 이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해 규정도계수(factor, f)를 사용한다. 이는 질량분변의 법칙(농도=질량/부피)에 의해 f=N/N0=V0/V 로 계산된다. f값이 1보다 크면 원하는 농도보다 진하게 제조되었고, 1보다 작으면 원하는 농도보다 묽게 제조되었다는 것이다.
3. 서 론
분석화학이란 분석시료가 요구하는 정밀도로 가장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화학 분석법에는 시료에 존재하는 물질의 성질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시료에 존재하는 성분물질의 양을 알아내는 정량분석(quantitative analysis)라 있다. 분석방법에는 중량분석(무게분석), 용량분석(부피분석), 물리화학적 분석(기기분석)이 있다. 용액 또는 기체의 부피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용량분석법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적정법으로 산-염기 적정, 침전법 적정, 착물화법 적정, 산화-환원 적정 등이 있는데 이 중 산-염기 적정법을 이용하여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 적정분석(titrimetric analysis)
분석물질을 삼각플라스크 등에 취하고 여기에 목적성분과 반응하는 이미 농도를 알고 있는 용액을 뷰렛으로 첨가하여 당량점까지 반응하는데 필요한 부피를 측정하여 이 측정된 부피로부터 목표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참고 자료
분석화학 (탐구당), 박기채 외, 179~183p, 199p
분석화학,기기분석 (동화출판사), 최재성, 4~9p, 23p
분석화학 (신광문화사), 손무정 외 5명, 42~49p, 175~178p, 164~165p
분석화학 (자율아카데미), 이송주 외 2명, 179~183p, 19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