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회와 문화]중국 소수민족 복식을 읽고
- 최초 등록일
- 2005.10.25
- 최종 저작일
- 2005.06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책의 내용을 요약하며 저의 의견을 적절히 넣어 탄탄한 레폿의 구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레폿으로 에이뿔을 받았습니다!!!!
목차
1. 序
①소수민족의 분포 현황
②소수민족 거주 지역의 특징
2. 本論
① 동북내몽골 지역 소수민족의 복식
②서북지역 소수민족의 복식
3.結
본문내용
※ 리족
§ 리족은 인구가 1,112,498명으로 주로 해남도 중남부에 모여 살고 있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둥어족 여어지로, 중국어와 중국문자를 통용하며 종교는 다신교를 신봉한다.
※ 써족
§ 써족은 인구가 634,700명이며, 주요 거주지는 복건, 절강, 강서, 광동성 등이며, 그 중 대부분이 복건 동북과 절강 남부에 분포되어 있다. 언어는 한장어계 묘요어족에 속하며 중국어를 통용한다.
§ 남자복식 - 써족은 장기간 한족과의 잡거로 남자 의복은 이미 한족화하였다. 남자 복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느이 예는 대금 무령 청색 마포 단삼과 긴바지를 입고, 겨울에는 면투고를 덧입는다. 노년은 흑조포의 두건을 쓰고 배탑을 입는다.
§ 여자복식 - 부녀는 자직의 청, 남색 마포의 대금, 교령의 소수 단삼은 여변, 수구에 넓게 화조와 자수돈안으로 선을 둘러 매우 화려하다. 젊은 부녀일수록 화문도안과 선문이 넓다. 그리고 청, 남색의 화변으로 장식한 바지를 입거나 흑색의 단군을 입는다.
※ 고산족
§ 고산족은 인구 2,877명이며 주요 거주지는 대만 본도이다. 특히 대만의 고산지대와 동부 연해지방을 비롯하여 중국대륙의 북경, 상해, 복건, 남경 등지에도 분산 거주하고 있다.d jsdj는 남도어계 인도네시아어족에 속하나 문자는 없어 중국문자를 사용한다.
§ 남자복식 - 태아, 새하, dkl인으로 대표되는 북부형은 두 폭의 세마포를 길이로 연결하여 배분과 좌우 옆선을 봉합하여 만든 배심형 무수동상의를 착용한다.
§ 여자복식 - 아미는 노출식이다. 의복으로 단지 한 개의 배심과 한 조각의 양단에 줄무늬가 있는 방형의 요포만을 두른다. 겨울에는 한 조각의 방포를 좌견 상에서부터 몸을 둘러 고정하고 머리는 목편제의 팔각두회를 쓰고 맨발로 생활한다.
3.結
이 레포트를 마치면서 느낀 것은 중국 내의 소수민족에 대해 너무 많은 것을 알았다. 마치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그 민족의 사람들을 만나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소수민족의 복식을 공부하기는 했으나 그 옷을 입는 것은 어디서나 마찬가지로 그 환경에 영향을 받았으며 그 환경으로 인한 복식은 그 민족을 대변한다는 것을 느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