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연구-논문]간호학과 졸업 논문-삼음교 지압이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
*나*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교수님께 칭찬받은 레포트입니다~ 논문쓰는데 유용하게 참고하세요!목차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가설
4. 용어 정의
5. 연구의 제한점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기간
3. 연구도구
4. 연구진행절차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Reference
본문내용
실험효과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주로 학교에서 생활하는 간호학부 2, 4학년 여학생을 실험군으로, 병원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간호학부 3학년 여학생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5년 5월 20일부터 2005년 6월 21일까지 약 30일간이었다.3. 연구도구
1) 월경통 측정 도구
월경통 측정은 Keele(1948)이 개발한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로 10㎝ 수평선상의 왼쪽부터 ‘전혀 불편감이 없다’가 0점에서 오른쪽 수평선상의 ‘매우 불편하다’까지가 1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월경 불편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2) 월경 곤란증상 측정 도구
‘일부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 증상 호소에 관한 조사 연구’로 연세대 보건대학원 보 건학과 박금례 박사학위 논문(1998)에서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논문의 연구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스트레스에 관한 문항 47문항, 월경에 관한 1문항을 제외하여 월경에 관한 7문항, 월경증상에 관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월경 증상에 관한 도구는 5점 척도로서 ‘전혀없다’ 1점, ‘거의 없다’ 2점, ‘보통이다’ 3점, ‘약간 있다’ 4점, ‘아주 심함’ 5점을 주어 점수가 높을수록 월경 곤란증 증상 정도가 심함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김국한(1988). 完圖解指壓療法. 서울: (주)보건신문사김순옥, 조수현 (2001). 수지침과 뜸요법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4), 610-621.
김영희, 이인숙 (2002). 일 대학 간호과 여학생의 월경 곤란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1), 85-95.
나숙자 (1992). 이완요법이 여학생의 월경전증후군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산과학 제 3판. 서울 : 도서 출판 칼빈서적
민애경(1996). 월경전 증후군 여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3(1), 31-40
박명화(1993).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이행정도와 월경전 증상의 관계 연구. 일부 여군을 대상으로 이화 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주(1980). 일부여고생들의 월경곤란증시 진통제 사용에 관한 조사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환금 (1998). 발반사마사지가 월경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논문.
아베도시오 저, 임종상 역 (1996), 즉효. 건강지압법. 서울 : 둥지.
안병욱 (1990). 지압과 장수. 서울 ; 삼영서관.
이윤정 (1993). 자장적용이 생리통 경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정미경 (1999). 여고생의 월경지식, 태도, 증상 및 대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혜숙 (2001).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외기공요법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성희 (2000). 구조화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월경곤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논문.
최용태, 이수호 (1991). 침구학 上. 서울 : 집문당
허명행 (1985). 월경긴장증의 증상 및 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yers, 1983 : Carter, & Weber, (1996).
Davis & Westhoff. (2001). Praimary dysmennorhea in adolescent girls and treatment with oral contraceptivesv dunnihoo, D R. (1992). Menstrual problems.
The findamentals of Gynecology and Obstetric, 622-627.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any.
Johnson, J., Rice, V.(1974). "Component of pain; Sensory and Distress". Nursing
Ressearch Vol. 23, pp 203-209.
Johnson, S. R (1987). The epidemiology and social impact of premenstrual symptoms. Clin Obestet Gynecol, 30, 368-369.
Peck(1990)
Smith, Schriff(1989)
stephenson, (2000)
Romana, D. (2000). Transvaginal color doppler study of uterine blood flow in primary dysmenorrhea. Acta Odstet Gynecol Scand, 79, 1112-1116.
Rose, R. M. (1983). The premenstual syndrom. hospital practice, June, 129-141
Woods, N. F., & Most, A. (1985). Major life events, daily stressors, and premenstrual symptoms. Nursing Research, 43, 263-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