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1.1 문제 제기
1.2 연구 목적 및 범위
1.3 선행 연구
2. 통신 언어의 유형과 발생 원인
2.1 통신 언어의 유형
2.2 구체적인 사례 및 검증
2.3 통신 언어의 발생 원인
2.4 통신 언어에 대한 네티즌의 인식
3 통신 언어의 일상 언어화에 따른 문제점
3.1 언어의 공공성 파괴
3.2 언어학상의 문제점
3.3 구체적인 사례 및 그 심각성
4. 올바른 국어 교육의 확립
4.1 언어와 민족
4.2 국어 교육의 현주소와 대책
4.3 그 외의 대책
5.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1.1 문제 제기
우리는 오랜 역사 속에서 숱한 역경을 겪으면서도 우리의 나라를 굳건히 지키고 발전시켜온 우리 자신과 문화유산에 대하여 긍지를 가지고 있다. 거북선, 금속활자, 고려자기를 비롯한 많은 유산들이 그 자랑거리이다. 그러나 지금 이 순간에도 활용하고 미래에도 끝없이 사용할 문화유산은 그리 많지 않다. 반면에 한글은 지난 오백여년간 꾸준히 쓰여왔고 지금도 쓰고 있으며 앞으로 쓰여야 할 우리의 글자이다. 이러한 한글은 의심할 여지가 없을 만큼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라는 것을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 외국의 많은 학자들도 한글의 과학성에 놀라워하며 극찬할 정도이다 지금 세계적인 언어학자들 중에는 음소문자이면서도 모아쓰기로 형태표기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한글의 과학성과 편리성을 극대화하여 세계공용문자로 추진하자는 움직임도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정작 한글의 위대성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우리 자신인 것 같다. 현재 우리말과 글의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다. 인터넷상에서 바른 한글사용은 찾아보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 표준어와 맞춤법이 원칙을 잃고 혼란을 빚을 뿐 아니라 국적불명의 외국어 남용, 원칙 없는 조어(造語)의 남발, 비속어, 은어가 범람하고 있다.
처음 사이버 은어는 90년대 중반 PC통신을 사용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싹트기 시작했다. 이제는 네티즌이 아니더라도 잘 알고 있는「방가방가」(반갑습니다)나,「안냐세여」(안녕하세요) 등의 말은 당시 비싼 통신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만들어낸 축약어(縮約語)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한글 파괴라는 개념과는 거리가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현재 온라인상의 언어 파괴 문제는 과거 PC통신에서의 '효율적인 줄여 쓰기'의 수준을 넘어 기존의 멀쩡한 언어를 파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이버 은어들이 이제는 실생활에서도 버젓이 쓰이다 보니 세대간에 의사 소통이 힘들 정도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국가적 위협 요소가 될 것이라고 걱정하는 이도 있다. 와우진 제 8호 2001. 11. 1
지나친 언어 파괴나 변질이 서로간의 의사 소통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도가 되어 언어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점점 심화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대처해나가는 슬기를 발휘해야 한다.
참고 자료
신종희(2002)「중학생 PC 통신언어의 실태 분석」,『국어 교육 연구회 34집』, 국어 교육 학회송민규「PC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고찰」
김기석(2001),「휴대전화 문자 언어의 실태 분석과 국어 교육적인 방안」,『교육한글 제14호』, 한글학회
김성규(1999), “빠른 발화에서 음절 수 줄이기”, 애산학보 23집, 애산학회.
황상민外(1999), 「사이버 공간의 심리 - 인간적 정보화 사회를 향해서」, 전영사.
송민규 「PC 통신 언어에 나타나 음절 수 감소 현상에 대한 고찰」
김보균(2002), 「학생들의 한글맞춤법 표기 실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최기호 「외국말 홍수의 실태와 그 대책」, 『우리말 순화의 미래와 오늘』, 미래문화사, 1989
이경옥 「우리말 힘펴는 길」, 『우리말 순화의 어제와 오늘』, 미래문화사, 1989
권재선 2002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
고종석 1999 『감염된 언어』 개마고원
김정숙 1994 『정보 사회의 우리글 바른 표기』 일진사
김기혁외 2001 『언어의 이해』 경진문화사
이현복외 1997 『한글 맞춤법 무엇이 문제인가?』 태학사
이현규 1995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조영희 1998 『우리말을 바로 알고 바로 쓰자』 신아
국어 순화 추진회 『우리 말 순화의 어제와 오늘』 미래 문화사
와우진(수원대 잡지) 제 6호 2001. 8. 15
제 8호 2001. 11. 1
중앙 일보 nie 2001. 1. 15
디지털 타임스 2002. 10. 9
굿데이 2002. 8. 27
동대 신문, 제 1331호 2001. 11. 12
교육 신보 95. 3. 1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통신 언어의 장점과 단점, 특성 / 우리말 파괴, 훼손 16페이지
- [국어와 생활] 한글파괴현상 3페이지
- [언어의이해]통신언어를 통해 본 우리말 파괴실태 11페이지
- 영화 쿵푸팬더 감상문 3페이지
- [인터넷소설] 인터넷 소설이 청소년에게 끼치는 영향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