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멸종] 외국과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전방법 비교
- 최초 등록일
- 2005.08.29
- 최종 저작일
- 2005.06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①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이란
② 멸종위기의 야생 동식물 지정현황
③ 야생 동·식물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
④ 야생 동식물 멸종의 주된 이유
⑤ 야생 동·식물의 보호 방법
⑥ 외국의 야생 생태계 관리
본문내용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 주변에 수많은 동식물들이 사라져가고 있다. 아니 우리들 바로, 인간들 때문에 우리 곁을 떠나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개발이라는 목적 하에 자행되어지는 인간의 의한 환경의 파괴와, 무분별한 포획, 남획. 이러한 생태계 파괴 현상은 정녕 우리나라뿐만이 아닌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이제 파괴가 아닌 보호해야 할 때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야생동물의 멸종과 생태계 관리와 외국의 경우를 예를 들어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은 무엇이고, 고쳐야 할 점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세계에는 현재 약 150만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 중에서 약 70%는 열대 지방에서 서식하고 있다. 야생 동식물은 우리에게 무한한 물질적, 정신적 자원의 보고로서 인류의 영속에 공헌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서 이러한 야생동식물 자원이 환경오염과 각종 개발행위 및 남획으로 멸종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야생동식물 멸종의 한 가지 예를 들면, 1914년 완전 멸종된 나그네 비둘기의 경우일 것이다. 1850년대에는 약 2억 마리의 나그네 비둘기가 미국 내에 서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떼를 지어 이동하기 때문에 한번 이동시에는 검은 구름이 낀 것처럼 하늘을 가릴 정도로 수효가 많았고, 나무에 모여 앉으면 나뭇가지가 부러질 정도였고 한다. 그러나 이 비둘기는 1914년 한 마리도 없이 멸종하였다. 멸종의 가장 유력한 이유가 되는 것은 남획이었다. 이 새떼가 이동할 때는 농장에서 일하던 농부들이 모두 나와 총을 마구 쏘아서 새들을 잡았고 비둘기 요리가 장터에 성행하였다. 또한 멍텅구리 비둘기라 하여 암비둘기를 잡아서 눈을 꿰매고 다리에 줄을 잡아매어 짝짓기를 위해 달려드는 수컷 비둘기들을 포획하였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호랑이와 사슴 등은 벌써 오래 전에 멸종되었고, 최근 멸종 위기 종의 수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참고 자료
http://www.tanzania.pe.kr/np-seren1.htm
http://bh.knu.ac.kr/%7Esdsong/Life%20and%20Environments.htm
http://www.kordic.re.kr/~trend/Content200/environment05.html
http://inhavision.inha.ac.kr/~s951437/theme/species.htm
http://cuth.amare.ac.kr/%7Es5130028/environment/동식물.htm
동물구조 관리협회: http://www.karama.or.kr/
국립공원관리공단: http://www.npa.or.kr/
구로고등학교 학습한마당:
⋅http://21.new21.net/technote/read8.cgi?board=environ&y_number=161
⋅http://21.new21.net/technote/read8.cgi?board=environ&y_number=115&nnew=2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mindri66/100006985759
⋅http://blog.naver.com/bluepoet2000/100000350629
네이버 이미지: http://imagesearch.naver.com
네이버 지식:
⋅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5&docid=91018
⋅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5&docid=174748&ts=1053841937
⋅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116729
⋅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189030
⋅kin.naver.com/browse/db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