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과]피구경기 성적과 집단응집력, 만족도 및 참여동기에
*지*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소논문입니다.논문쓰시는데 좋은 참고가 될듯^^
목차
Abstract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가 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내용
3. 측정 도구 및 내용
5. 자료 처리
Ⅲ. 결 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체육이나 스포츠의 여러 종류의 운동 경기가 혼자서 단독으로 경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선수들과의 공동으로 하나의 목적이나 승리를 위하여 노력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많은 종류의 팀 스포츠가 바로 그 좋은 예인데 팀 경기에서는 한 사람의 선수가 우수한 기량을 갖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승리할 수 없다. 여러 사람의 합심과 단결의 기반 위에서 개인기가 발휘될 때 총합 적인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한 선수로서가 아니라 여러 사람이 공동 노력에 의해서 경기 성과가 결정되는 팀 스포츠와 같은 게임에서는 단체 성원간의 합심된 노력이란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즉, 그 구성원들의 단결된 노력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단체 경기의 승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론되는 이러한 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용어로 불리어지고 있다. 즉, 단결(togetherness), 단체 정신(team spirit), 단체 통일(team unity) 또는 단체 노력(team work) 등이 곧 그것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용어들을 포괄하는 하나의 공식적인 학술 용어는 집단 응집(group cohesion) 또는 간단히 응집(cohesion)이라고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수행성적이 따른 승자집단과 패자집단 간의 응집력의 차이를 분석한다.
2) 수행성적에 따른 승자집단과 패자집단 간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다.
3) 수행성적에 따른 승자집단과 패자집단 간의 참여동기의 차이를 분석한다.
3. 가 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1) 가설 1 수행성적이 집단 응집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2) 가설 2 수행성적이 만족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3) 가설 3 수행성적이 참여동기를 증가시킬 것이다.
참고 자료
강신구(1987). 스포츠 집단의 응집성과 운동수행 결과에 관한 사례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권순일(1994). 수행성적과 집단응집력, 만족도 및 참여동기와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순일(2000). 초등학생의 발야구 게임이 집단 응집력과 사회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학국체육과학회 제9 권2호
김종선 외2 (1986). 스포츠 심리학 개론, 서울 ; 서울문화사, 205-230
박장평(1991). 집단 응집력과 수행성적 간의 인과성 분석,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신용석(1992). 대학 축구팀의 응집력에 대한 연구. 면지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이상만(1999). 축구선수 집단의 응집력이 팀 성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상철(1983). 스포츠 사회학 개론, 서울;서울문화사.
이한규 외(1990). 스포츠 집단의 응집력과 경기력의 관계, 체육과학논총, 제1권 제 4호, 1~16.
정지혜(1991). 팀 승률이 집단 응집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ll, J.R. & Carron, A.V.(1976). The influence of team cohes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upon performance success, and intercollegiate ice hockey team.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 Ciences, 1, 271-275
Carron, A. V. & Ball, J. R.(1976). An analysis of the cause-effect characteristics of cohesiveness and participation of the cause-effect characteristics of cohesivenes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intercollegiate hockey team.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Sociology, 12.
Cartwright, D.(1968). The nature of group cohesiveness. In D.Cartwright & A. Zander(eds.), Group dynamics. New York ; Harper and Row. 91-109.
Festinger, L. , Schachter, S. , & Back, K. (1950). social pressures in informal groups. New York:Haper.
Fiedler, F.E. (1954). Assumed similarity measures as predictors of team effectivenes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9. 3, 381-388.
Gruber, J. J. & Gray, G. R.(1981). Factor Patterns of variables influencing cohesiveness at various levels of basketball competi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2, 19-30.
Hacker, C.M. & Williams, J.M. (1981). Cohesi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intercollegiate field hockey. Psycholgy of motor behacior and sport-1981;Abstracts;Monterey, CA;NASPSPA.
Hagstrom, W. O, & Selvin, H. C. (1965). The dimensions of cohesiveness in small groups. Sociometry, 28, 30-93.
Lander, (1981). Group Performance, Interactions and Leadership. Luschen(ed.)
Handbook of Social Science of Spor. 297.
Martens, R., Landers, D.M. & Loy, J.(1972). Sport cohesiveness questionnaire. Washington ; AAHPER.
Peterson, J. A. & Martens,<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