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계원리] 유형자산 - 중급회계, 회계원리 요약
- 최초 등록일
- 2005.07.26
- 최종 저작일
- 2005.05
- 12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중급회계와 회계원리의 주요내용을 요약했습니다. 책을 벗어난 심화된 내용은 없습니다.
목차
1. 유형자산의 의의
유형자산의 특성
관련 세법
유형자산의 분류
2.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1. 유형자산 취득시의 인식문제
2. 인식금액의 결정
(1) : 유형자산의 유형별 취득원가
(2) : 유형자산의 거래특성별 취득원가
3. 유형자산취득 후의 지출
4. 유형자산의 처분
1. 유형자산처분손익의 개념
2. 유형자산처분의 회계
5.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1. 의미
2. 감가상각의 회계처리
3. 감가상각의 요소
4. 감가상각방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형자산(有形資産)이란 무엇인가? 두가지 의미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로서 형태가 있는 자산이다. 한자를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풀이이다. 다른 하나는 그런 것 중에서 특별히 “기업회계기준” 제 18조에서 유형자산이라 규정한 것들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품은 형태가 있으므로 일반적 의미의 유형재산에 속하지만, “기업회계기준”이 규정한 유형자산에는 속하지 않는다.
우리 수업이 “회계원리”이므로 본 리포트에서는 “기업회계기준”이 규정한 유형자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유형자산의 의의
유형자산(property, plant and equipment) : 설비자산(plant assets), 유형고정자산, 고정자산(fixed assets)
재화의 생산, 용역의 제공, 타인에 대한 임대 또는 자체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물리적 형태가 있는 자산으로서 1년을 초과하여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을 말한다.
영업활동에 사용하며, 장기성 자산, 감가상각 대상(토지 제외)이고, 물리적 실체가 있는 것이다.
유형자산의 특성
① 보유 목적 : 유형자산은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영업자산이다.
② 내구성 : 유형자산은 내용연수(usefull life)가 1년을 초과하는 내구성자산이다. 내구성이란 효익, 즉 현금창출력이 1년을 초과하여 지속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③ 물리적 실체 : 유형자산은 물리적 실체를 가진 자산이다. 물리적 실체의 특징은 물리적 형태가 없지만 영업에 사용하는 내구성 자산인 산업재, 어업권, 영업권등의 무형자산과 구별된다
참고 자료
중급회계 (표영인著) 박영사
회계원리 (송상엽著) 웅지세무대학출판부
세법, 한국세정신문 www.tax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