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하수의 중요성과 관리대책, 피해사례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하수의 중요성을 조사한 자료입니다. 좋은 자료로 활용하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하수의 필요성
① 현재 우리나라의 물 부족 현황
② 지하수의 현재 이용 실태
③ 대체수로써 지하수의 필요성
2. 지하수란 무엇인가?
3. 지하수의 오염원인
① 폐기물 처리장(매립지)
② 지하탱크 누수와 화학물질의 유출
③ 광산 활동
④ 농업활동
⑤ 정화조
⑥ 폐공
⑦ 하수 지상 살포
⑧ 해수 침투
⑨ 도로 제설
4. 지하수 오염 피해 및 사례
5. 정화 방법
6. 지하수관리법규와 대책 및 개선방안
① 지하수 관리법규와 법규의 보완책
② 지하수 수질 개선 대책
③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지하수 수질 개선방안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최근 정부가 수립한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과 UN에서 지정한 ‘물 부족’ 국가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이제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자와 후자는 ‘물 부족’ 이라는 단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지만 서로 의미가 같지는 않다. 국가 수자원 장기 종합 계획에서 언급한 물 부족은 30년에 한번 발생할 수 있는 가뭄이 발생했을 때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수요보다 적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UN에서 언급한 물 부족은 우리나라의 국민 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 총량이 연간 1,700보다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인구증가에 따른 물 사용량의 급증과 물 자원의 지역적 편재에 따라 앞으로 20년 후에는 상당수 국가들이 물 부족사태에 직면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체 수자원의 하나로 지하수가 중요하게 인식되어졌다. 그러나, 우리가 대체 수자원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지하수는 사실은 우리가 샘물, 온천, 우물 등의 용어로 이미 어려서부터 접했던 형태이다.
우리는 지하수가 무엇인지, 지하수의 필요성과 이렇듯 중요한 지하수의 오염의 원인과 현 실태, 그리고 오염 정화 방법,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하수 법과 보안점,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Ⅱ. 본론
1. 지하수의 필요성
① 현재 우리나라의 물 부족 현황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제 인구 행동 연구소(PAI)의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케냐, 모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등과 함께 물 부족 국가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총 연평균 강수량은 많은 편이나, 1인당 강수량은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어서 현재 뿐만 아니라 향후 물소비량이 증가할 경우 물 부족 사태가 예상됩니다.
② 지하수의 현재 이용 실태
현재 지하수는 지하수자 있는 곳 까지 땅을 파서 우물로사용하기도하며, 온천수로 사용 되고 있고 최근에는 휴양 및 관광자원으로 대규모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먹는 샘물 제조에 사용되며, 농어촌용수로서 이용됩니다. 그리고 지하철·터널 등의 지하시설물 또는 대형건축물 설치로 인하여 유출되는 지하수를 이용토록 함으로써 지하수를 최대한 활용하려하고 있으며 또한, 국방 군사시설 사업에서 필요로 하는 물을 지원하기도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참고 자료
· 박용화, 이승희, 토양환경보전을 위한 오염방지기준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기술개발원, 1995, p98-113
· 김명룡, 토양환경보전법의 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 2001, p151-153
· 김형철, 환경법정해, 신광출판사, 2000, p37
· 윤서성, KEI 2002연구보고서 요약집,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p119-121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토양환경공학, 향문사, 2003, p74-90
· 노명준, 신국제환경법, 법문사, 2003, p1, p73-88
· 한양대 환경공학연구소, (21세기) 한국 환경대책 총서 vol.1, 한양대 환경공학연구소, 2000
· 곽홍탁, (21세기를 위한)환경학, 신광문화사, 2003
· 이승원, 토양환경기사, 성안당, 2004, p4.42-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