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0년대 이후 3차례에 걸쳐 부동산 가격이 급등
① ‘70년대 말 :『 주택공급 부족 + 중동 특수 』
- ‘75~79년간 연평균 토지가격 30.6% 상승
- 비업무용토지 중과세, 양도세 중과세 등으로 대처
② ‘80년대 말 :『 주택공급 부족 + 국제수지 흑자 』
- ‘88~90년간 연평균 주택가격 16.3%, 토지가격 26.7% 상승
- 토지공개념 도입, 분당 신도시 등 200만호 주택 건설로 대처
③ ‘01년 이후 :『 국지적 주택공급 부족 + 부동자금 』
- ‘01. 7~’03. 9월간 연평균 주택가격 11.2% 상승
- 신도시 추가건설, 재건축 억제, 양도세 강화 등으로 대처
2) 01년 하반기 이후 주택시장은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 신도 시, 신행정수도 지역 위주로 가격 상승
① 전국적으로는 02년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섰으나 서울․수도권 지역은 주택공급 이 수요에 비해 부족
- 전국 주택보급률 추이 : 71.2%(‘80) → 72.4%(’90) →96.2% (‘00)
- ‘02년말 주택보급률 : 전국 100.6%, 서울 82.4%, 수도권 91.6%
② 재건축 과열, 수도권 고교평준화 조치(‘01)에 따른 강남이주수요 증가 등으로 강남 지역 주택가격 상승 촉발
- 소득증가 등에 따라 주거의 질이 중시되면서 강남지역 주택수요가 크게 증가
③ 저금리 상황에서 풍부한 유동성이 신도시 ․ 신행정수도 등 개발이익이 기대되는 지역 으로 유입
· 권태영, 정희남 「21세기 토지제도 정립을 위한 국제회의」, 국토개발연구원, 1995
· 김상태,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참조, 2000, 6월
· 김재덕,『부동산경영원론』, 서울 : 박영사, 1993
· 김정호, 『토지세의 경제학』, 한국경제연구원, 1996
· 김종봉, 『강남은 좁고 부자는 많다』, 월간조선. 10호, 2002
· 김창섭, 「 토지비축을 적극 활용하는 이유」, 토지연구 제1호, 한국토지공사, 1999
· 김형렬,『정책학』, 법문사, 1993
· 대한상공회의소, 「지가평가제도의 개선방향」, 1992
· 박원석,『국토와 토지정책』, 범문사, 1995
· 손재영,「90년대 수도권 주택시장의 변화와 향후 전망」, 한국주택학회춘계학술대회, 2002
· 삼성경제연구소, 「주택정책과 방향」, 2001
· 안정근, 『현대부동산학』, 서울 : 법문사. 1997
· 유동조, 「부동산정책이 부동산경기변동에 미친 효과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이창진, 『부동산학개론』, 서울 : 형설출판사, 1999
· 정진환, 김재영, 『행정학원론』, 학문사, 1997
· 한국경제신문, 2002
· 韓國法學敎綬會編, 『法과 土地』, 삼영사, 1982
· 한국부동산신탁, 「21세기를 향한 부동산개발 방향 : 세계화․지방화시대의 대응」, 1995
· 함현우, 「부동산 가격 급등기의 주택시장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 : 건국대 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