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목차
1. 서론
2. 주택시장의 동향
3. 부동산 가격 상승의 원
1) 저금리
2) 수급불균형
3) 조세정책
4) 정부 일회성 정책
4. 주택안정화 대책들
1) 정부대책
2) 한계
5. 주택가격의 안정화 방안
1) 주택가격 안정화 대책과 공공임대주택
2) 주택시장 안정과 신도시 건설
3) 세제를 통한 주택가격 안정화 대책
4)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과 전망
(1) 긍정적 효과
(2) 부정적 반응의 원인
5) 향후대책
6. 결론
1) 제도적 측면
2) 의식적 측면
본문내용
1) 70년대 이후 3차례에 걸쳐 부동산 가격이 급등
① ‘70년대 말 :『 주택공급 부족 + 중동 특수 』
- ‘75~79년간 연평균 토지가격 30.6% 상승
- 비업무용토지 중과세, 양도세 중과세 등으로 대처
② ‘80년대 말 :『 주택공급 부족 + 국제수지 흑자 』
- ‘88~90년간 연평균 주택가격 16.3%, 토지가격 26.7% 상승
- 토지공개념 도입, 분당 신도시 등 200만호 주택 건설로 대처
③ ‘01년 이후 :『 국지적 주택공급 부족 + 부동자금 』
- ‘01. 7~’03. 9월간 연평균 주택가격 11.2% 상승
- 신도시 추가건설, 재건축 억제, 양도세 강화 등으로 대처
2) 01년 하반기 이후 주택시장은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 신도 시, 신행정수도 지역 위주로 가격 상승
① 전국적으로는 02년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어섰으나 서울․수도권 지역은 주택공급 이 수요에 비해 부족
- 전국 주택보급률 추이 : 71.2%(‘80) → 72.4%(’90) →96.2% (‘00)
- ‘02년말 주택보급률 : 전국 100.6%, 서울 82.4%, 수도권 91.6%
② 재건축 과열, 수도권 고교평준화 조치(‘01)에 따른 강남이주수요 증가 등으로 강남 지역 주택가격 상승 촉발
- 소득증가 등에 따라 주거의 질이 중시되면서 강남지역 주택수요가 크게 증가
③ 저금리 상황에서 풍부한 유동성이 신도시 ․ 신행정수도 등 개발이익이 기대되는 지역 으로 유입
참고 자료
권태영, 정희남 「21세기 토지제도 정립을 위한 국제회의」, 국토개발연구원, 1995
김상태,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참조, 2000, 6월
김재덕,『부동산경영원론』, 서울 : 박영사, 1993
김정호, 『토지세의 경제학』, 한국경제연구원, 1996
김종봉, 『강남은 좁고 부자는 많다』, 월간조선. 10호, 2002
김창섭, 「 토지비축을 적극 활용하는 이유」, 토지연구 제1호, 한국토지공사, 1999
김형렬,『정책학』, 법문사, 1993
대한상공회의소, 「지가평가제도의 개선방향」, 1992
박원석,『국토와 토지정책』, 범문사, 1995
손재영,「90년대 수도권 주택시장의 변화와 향후 전망」, 한국주택학회춘계학술대회, 2002
삼성경제연구소, 「주택정책과 방향」, 2001
안정근, 『현대부동산학』, 서울 : 법문사. 1997
유동조, 「부동산정책이 부동산경기변동에 미친 효과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이창진, 『부동산학개론』, 서울 : 형설출판사, 1999
정진환, 김재영, 『행정학원론』, 학문사, 1997
한국경제신문, 2002
韓國法學敎綬會編, 『法과 土地』, 삼영사, 1982
한국부동산신탁, 「21세기를 향한 부동산개발 방향 : 세계화․지방화시대의 대응」, 1995
함현우, 「부동산 가격 급등기의 주택시장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 : 건국대 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