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설계론] 도시공학 - 경관계획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5.07.10
- 최종 저작일
- 2005.06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도시공학에서의 경관계획에 대한 고찰 보고서입니다.
목차
0. 경관의 이해
1. 경관의 정의
2. 기본적인 경관의 유형
3. 도시경관과 시각적 스케일
4. 건축의 외관을 어떻게 보이게 하는가에 대한 고찰
1) 서구의 석조건축과 동양의 목조건축의 차이
2) 가로의 형성에 있어서 건축의 외벽의 역할
3) 제1윤곽선과 제2윤곽선
5. Contextualism
1) 현대의 contextualism
2) Brent C. Brolin의 contextualism
본문내용
[경관의 정의에 대하여]
- <환경>은 <보는>것에 의해 평가되는 측면이 강하다. <바라보이는 환경>의 질 은 생활공간의 쾌적함에 직결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 <바라보이는 환경>이 곧 경관이다.
비슷한 말로는 풍경, 경치 등이 있는 데 이는 주로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할 때 쓰인다. 한편 집이나 빌딩, 간판 등도 <보이는 환경>을 형성하는 데 이것과 자 연을 하나로 묶어 얘기할 때 경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경관이란 용어자체는 독일어 Landschaft에서 비롯되었다.
즉 1차대전 직후에 독일에서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여 경관지리 학을 탄생시킨 바 있는 경관학에서 출발한 용어가 바로 경관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익숙한 <풍경>이 8세기의 당시에서 유래하는 것과는 달리 <경 관>이란 번역어는 일본제 술어이다.
위의 독일어를 1900년경 일본인 식물학자가 경관으로 번역했고, 1916년경에 ‘츠 지무라’ 라는 학자가 지리학에 도입하여 일반화시킨 것을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도 사용하고 있다.
- 경관의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당연히 우리말 사전이나 일본어 사전이 비 슷한데
<경치, 특색있는 풍경형태를 가진 일정한 지역. 풍경의 지리학적 특성. 자연경 관과 문화경관으로 구분됨>으로 나와 있다.
여기서의 자연경관은 인공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상태의 해변, 호수, 숲, 사막, 황야 등이며, 그 반대개념인 문화적경관은 인공적경관이라고도 한다.
건물, 광장, 도로, 전원과 같은 인공적 경관은 다시 전원경관과 도시경관으로 나눌 수 있다.
지금 우리가 특별히 문제로 삼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도시경관이다. 왜냐하면
도시경관은 미적, 생태학적, 문화적, 경제적인 활동 등 인간의 전체적인 도시활 동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건축 9607)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