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말 좋은 자료입니다, 후회없으실 거에요.목차
1. 인권의 개념2. 학생의 인권
3. 학생인권 현황
1) 학생의 ‘교육받을 권리’
2) 학생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 받을 권리’
3) 학생의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
4) 학생의 ‘적법절차를 보장 받을 권리’
4. 인권 교육의 필요성
1) 인권 교육의 기념
2) 인권교육의 필요성
3) 인권교육이 중요한 이유
5. 아동 및 청소년의 인권과 그에 따른 인권교육
1)우리사회의 아동 및 청소년의 인권실태
2) 아동 및 청소년의 인권, 그리고 인권교육과 맺고 있는 관계
6. 청소년 인권교육의 필요성
7. 인권교육의 국내외적 동향
1) 인권교육의 국제적 동향
2) 한국 청소년 인권교육의 실태
8. 국제기구가 제안한 청소년 인권교육
1) 청소년 인권교육의 개념
2) 청소년 인권교육의 방법
9. 한국 청소년을 위한 인권교육의 모색
1) 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인권교육
2) 청소년 인권에 대한 교사교육
3) 자녀의 인권에 대한 학부모 교육
10. 학교교육과 인권
1) 인권교육은 교문 앞에서 멈춘다.
① 입시위주의 학교문화
② 권위주의적 학교구조
③ 학교 규율의 심각성
11. 내가 생각하는 인권교육의 방법
1) 사례교수법
2) 시뮬레이션, 역할놀이, 모의재판
3) 게임
4)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교수법
12. 인권교육의 모범적인 사례
1) 인권교육과 법 교육:
미국의 ‘Street Law, INC(In Newly Emerging Democracies)’의 사례
2) 억압받은 자와 인권교육:
일본의 “Dowa Education”
13. 인권교육의 올바른 방향제시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인권(Human Rights)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명확하고도 확정된 대답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이는 인권의 개념과 범주가 폐쇄적인 것이 아니라, 시대적․사회적 조건 속에서 규정되는 것이며 인권을 확장하고 새로운 인권개념을 창조해나가는 인권운동의 역사 속에서 새롭게 늘 변화되고 풍부해지는 역동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인권의 개념에서부터 인권의 주체, 인권의 내용과 범주는 늘 지배세력과 피지배세력 간의 긴장관계 속에서 변화되어 왔으며,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와 평등을 진정으로 구현해나가려는 노력 속에서 새롭게 정의되고 확장되어 온 것이다.이러한 역동성에도 불구하고 인권은 문자 그대로 ‘인간이라는 단 한 가지 이유만으로 당연히 갖는 권리’로서 정의된다. 인권이 국가나 실정법 등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에 당연히 인정되는,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인 권리라는 것이다. 여기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한다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삶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인간이 그 신분이 무엇이든 간에 존엄성을 가진 존재라는 관념도 근대이후에서야 등장한 것이고, 인간의 존엄성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도 역사적․사회적 조건에 따라 달리 규정될 수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인간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자신의 정체성을 실현하고 자율성을 확보해 나가고자 하는 존엄성을 갖고 있는 존재라는 가치는 광범위한 동의를 획득하고 있으며, 초역사적인 성격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존엄성은 구체적인 법적 권리로서, 혹은 한 국가나 공동체, 국제사회가 합의한 규범적 질서 속에서 마땅한 도덕적 권리로서 승인됨으로써만 보장되고 발현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인권이란 존엄한 삶을 위해 모든 인간이 당연히 향유해야 할 권리인 것이다.
참고 자료
․ 국제사면위원회 지음 이용교․이희길 옮김, 인권교육의 기법, 한국청소년개발원, ARRC(1994), Shopping List of Techniques in Teaching Human Rights, ZAMORA press (115면).․ 국제 앰네스티 한국지부 앰네스티 지침서 간행위원회 역(1993), 앰네스티 정신 앰네스티 운동, (145면).
․ 국제인권봉사회·한국인권단체협의회(1994), 유엔과 인권-유엔인권제도 교육 자료집, (181면).
․ 김각(1994), 헌법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일수(1992), 법·인간·인권: 법의 인간화를 위한 변론, 박영사, (509면).
․ 류은숙(1994), 경제적 ·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규약에서 본 우리나라 사회권 보장 - 정부최초보고서의 분석, 연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석사학위 논문, (91면).
․ 리차드 카칸 · 마테 오 · 데이비드 바이스브로트(1990), 북한의 인권, 고려원, (271면).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1992), 한국인권의 실상-UN인권 이사회에 제출한 정부 보고서에 대한 반박, 역사비평사, (182면).
․ 박원순(1989), 국가보안법연구 Ⅰ(국가보안법 변천사), (320면) · Ⅱ(국가보안법 적용사), (605면) · Ⅲ(국가보안법 폐지론), (259면), 역사비평사.
․ 박찬운·김선수 외(1993), 국제인권원칙과 한국의 행형, 서울지방변호사회, 역사비평사, (302면).
․ 배경내 지음 (2000), 인권은 교문 앞에서 멈춘다, 우리교육 펴냄.
․ 석인선 역(1995), 인권의 역사, 한울, (212면) : 杉原泰雄(1992), 人權の歷史, Tokyo, Iwanami Shoten.
․ 어린이/청소년의 권리연대회의(1995), UN 어린이/청소년의 권리조약에 따른 민간단체보고서, (21면).
․ 우리누리(1995), 아빠, 법이 뭐예요? : 쉬운 법 재미있는 세상, 창작과 비평사, (235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엮음(1995), 인권이란 무엇인가 - 유네스코와 세계인권선언의 발전과 역사, 오름, (182면).
․ 유네스코한국위원회(1995), 평화를 위한 국제선언-유엔과 유네스코의 평화선언 자료집,
오름, (110면).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역(1995), 인권교육의 이론과 실제-학교에서의 실천적인 활동지침, (76면).
․ 유네스코한국위원회(1995), 관용 : 평화의 시작-평화, 인권, 민주주의 교육을 위한 교수 ․ 학생 지침서, (56면).
․ 유니세프한국위원회(1995), 어린이는 어떤 권리를 가졌을까요? - 게임으로 알아보는 아동의 권리협약(아동의 권리협약 교사용 지침서), (76면).
․ 유니세프한국위원회(1996), 국가발전백서, (54면).
․ 유니세프한국위원회(1992), 1990년대 한국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참고 자료집, (27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