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과 세계이해, 전통무술(무예)] 한, 중, 일의 전통무예
- 최초 등록일
- 2005.06.16
- 최종 저작일
- 2004.05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관광과 세계이해란 과목으로 비교하는 과제를 내주셨습니다.
세계를 이해하는데 저는 체육학과로써 관심있는 무예의 뿌리에대해서 찾아보았습니다.
지금까지 받아보신 레포트중에 가장 잘했다고 해주셨습니다.^^
직접 손으로 치고 계속 확인한 레포트여서 오타나 어구 이상한 곳은 없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레포트를 시작하면서
한국
한국무예의 출발 수박
한민족의 얼, 택견
국기 태권도
중국
소림권
태극권
일본
유술
유도
한․중․일 전통무예의 비교
레포트를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류에게 공격적인 투기는 진화 과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였다. 생존을 위해 먹을 것을 구하고 서식 영역을 넓혀 보다 유리하게 번식하기 위해 인류는 공격이라는 적극적 행위를 취하였고 이에 따라 자연히 싸우는 방법도 발달하였다. 모든 동물은 종족 보존의 본능에 의해 같은 종족을 죽이는 일은 하지 않는다. 지금은 달라졌지만 초기 원시인도 노동력과 번식력을 상실하는 인명 살상의 행위는 피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무기를 사용하여 동족을 상해하는 대신 맨손으로 싸우는 격투가 생겨난 것이다. 이러한 격투 습속은 제의성과 유희성이 더해지면서 중세에까지 남아 있었고 오늘날은 격기 종목의 스포츠로 변화하였다. 한편 동양에서는 근세에 와서 각종 격투기가 자신의 건강과, 심신수련을 목적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우리 조는 이번에 한․중․일의 대표적인 무예를 조사하기로 하였다.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나라이고, 고대부터 끊이지 않는 전쟁을 겪으면서 군사를 군사(백성)을 훈련시키기 위해 나라의 국기로 삼고, 오랫동안 지켜온 무예에 대하여 비슷한 점, 틀린 점을 찾아보기로 하였다.
참고 자료
이용복, 『택견』, 대원사, 2000
하웅의, 『태권도 총론』, 가림출판사, 2003
김상철, 『유도론』, 교학연구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