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좋은 평가 받은 자료입니다.
예배학에 대한 좋은 자료가 될 것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교회 예배의 역사
2. 한국성결교회 예배의 역사(60년대 이후)
3. 주요교단의 주일낮 예배 비교
4. 명동성결교회의 예배순서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한국교회 예배의 역사
허도화 교수의 “한국교회 예배사”에 한국교회 예배의 역사를 시대별로 나누었는데, 1) 주일 예배의 형성기(1879-1900), 2) 주일 예배의 전통기(1901-1930), 3) 주일 예배의 토착기(1931-1960), 4) 주일 예배의 굴절기(1961-1990), 5) 주일 예배의 갱신기(1991 이후) 허도화,「한국교회예배사」(서울: 한국강해설교학교출판부, 2003), 17-20.
로 구분한다.
한국교회의 예배의 역사는 독자적인 연구의 결과가 아닌 세계교회의 흐름에 따라 발전되었었다. 특히 로만 카톨릭이 1963년 Vatican II 공의회에서 예배의 내용, 구조, 그리고 형식을 개혁한 새로운 성례전(The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을 선언함에 따라 한국교회 또한 예배 갱신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로만 카톨릭의 예배개혁에 영향을 받은 주요 개신교 교단들은 30년 동안 각각 새로운 예식서와 찬송가를 출판하였다. 그래서 개신교의 예배갱신운동은 30년 동안의 예배의 굴절기를 통해서 성서적 내용에 근거하며, 여러 모습으로 변화를 시도하였다.
개신교들이 예배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1) 함께 모여, 2) 말씀을 듣고, 3) 감사로 응답하며, 그리고 4) 세상으로 파송되는 예배의 4중 구조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예배의 4중 구조의 회복은 초대교회로 회복을 말하는 것이다. 예배의 4중 구조는 가장 성서적인 배경을 지니며 특별히 처음 6세기까지 교회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예배 구조로 사도행전 2장 42, 46-47절에서 발견된다. 이 구절들은 초대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예배를 드렸는지를 설명해 준다. 그들은 함께 모여,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고, 기도와 친교를 하면서 떡을 떼고, 다시 세상으로 흩어졌다. 허도화, “한국성결교회 예배의 경향과 방향- 주일낮 공예배를 중심으로” (성결교회역사연구소 제 15회 정기세미나), 3.
이 구절들은 기독교의 예배가 처음부터 그 중심을 두 가지의 예배 구조, 즉 말씀(회당예배)과 성찬식(다락방예배)에 두었으며, 이 두 가지의 기본적인 예배 구조에다 예배의 시작 부분에서 예배공동체가 함께 모이고, 예배의 마지막 부분에서 세상으로 보냄을 받는 또 다른 두 가지 구조를 추가하여 4중의 예배 구조를 형성하였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참고 자료
백천기. “공예배의식 갱신에 관한 연구” (예배학박사학위논문, 미국훌러신학대학원, 1984)
정장복, “韓國 文化와 基督敎 禮拜. 禮典의 連接,”「예배의 신학」(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9)
허도화, “한국성결교회 예배의 경향과 방향- 주일낮 공예배를 중심으로” (성결교회역사연구소 제 15회 정기세미나)
______, “성결교회 예배갱신의 방향(새 예식서(1996)의 주일낮 공예배 순서를 중심으로)”(대전복음신학대학원)
목회예식서 (예수교대한성결교회, 1997)
새 예식서(기독교대한성결교회, 1996)
예배서 (기독교대한감리회 선교국, 1992)
예배와 예식서(기독교대한성결교회, 2004)
예식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1991)
표준예식서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1997)
헌법(기독교대한성결교회, 1996)
헌장(예수교대한성결교회)
「활천」(1968년 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