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논문 주제는 휴대용 dermoscopy 설계로 현재 국내에서는 생산 ․판매되지 않고 있는 dermoscopy의 상용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미국 Dermlite사에서는 휴대용 dermoscopy를 상용화시키고 있지만, 국내에는 유통되지 않고, $300의 고가로 인하여 국내의 전문의들이 그 사용을 꺼려하고 있다. 이번에 제작한 prototype의 dermoscopy는 저렴한 제작비로 epidermis의 진단 정확성을 극대화 시켰다.
그림7과 그림8은 모두 같은 피실험자의 knee부분을 촬영한 것이다. 보는바와 같이 그림8에서는 내피층에서 빛의 scattering에 의해 반사되는 glare의 대부분이 편광판에 의해 제거되면서 epidermis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가 있다. 이번 prototype시 사용된 볼록렌즈의 배율은 4배였고, 이에 대하여 상이 맺히게 되는 눈과 렌즈의 거리가 보통 8cm라는 전제하에 피실험자의 knee부분을 렌즈로부터 8cm 이격시켰다. 이 면에대해 LED의 입사각을 전체적으로 55.8°로 조정하여 하드웨어를 설정하였다. 하지만 렌즈의 배율 및 편광판의 편광률이 낮아, 보다 자세한 진단은 어려웠지만, 충분히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보완사항으로는 전체적인 dermoscopy크기 감소로 인한 휴대성의 극대화와, LED 빛의 편광판에 의한 직접반사에 의한 빛을 제거함으로써 진단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겠다.
* In this paper, we present a dermoscopy with the polarization-effect which improve the accuracy and the time of clinician's diagnosis
참고자료
· (1) http://physica.gsnu.ac.kr/phtml/optics/ polarization/polarizer/polarizer.html.
· (2) http://myhome.honam.ac.kr/%7Echkim/ lecturenote03-1/Chap1-7th.ppt.
· (3) Young·Freeedman, "University PHYSIC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p1072-1073, p1131-1133.
· (4) D.R. B. M, Kim. Mahesh, "Medical Applications of Lasers", p28-32.
· (5) B. M. Kim, "Scattering by Various Tissue Components', "Biomedical Applications of Optics" Class Note II, Spring Semester 2005, p9.
· (6) Byungjo Jung, PhD, "Characterization of Port Wine Stain Skin Erythema and Melanin Content Using Cross-Polarized Diffuse Reflectance Imaging", "Lasers in Surgery and Medicine(2004)" 34:174-181.
· (7) "Polarizing optics and technical discussion", ORIEL INSTRUMENTS, p11-2, 3, 4.
· (8) "Dermoscopy means better doctors, happier patients", "DermatologyTimes", Vol. 26, No.3, March 200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