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표하고 칭찬 받은 자료
목차
1.서론
2.본론
①1920년대부터 해방이전 까지의 1기(입문기)
②해방이후부터 1960년대 까지 2기(기초 형성기)
③70년대부터 1990년대 까지 3기(심화 발전기)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요 연구 성과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
1.서론
민요란 민중의 노래이다. 그러므로 민중이 아닌 지배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만들고 부른 노래는 민요의 범주가 아니다. 노래란 ‘놀다’에서 파생된 것으로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그 근원으로 하고 있다. 민요는 특정한 작가가 없이 민중의 공동작이다. 민요는 작가가 없고 기록된 것도 아니니 문학이어야 하는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것처럼 보이나 구체적 작가가 없이 다중의 작가를 상정할 수 있으며 채록을 함으로써 기록 문학의 성격을 가졌다 할 수 있다. 1923년 <개벽>지에 실린 민요 관계 문건을 보면 우리 민요 연구의 역사는 거의 80년에 이르렀다. 우리 민요 연구 역사를 크게 3부분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는데 그 나눔의 틀은 다음과 같다.
①1920년대부터 해방이전 까지의 1기(입문기)
②해방이후부터 1960년대 까지 2기(기초 형성기)
③70년대부터 1990년대 까지 3기(심화 발전기)
◆제1기(입문기)
초기의 한국 민요의 본격적인 연구는 1930년대 고정옥의 『조선민요연구』를 들 수 있으나 그 이전 1920년대 초기에도 민요에 대한 관심은 지대했다. 1920년대 시인들의 민요시 운동뿐만 아니라 조선총독부의 민요조사와 함께 우리 민요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의 자료조사는 식민통치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1920년대 들면서 여러 식자들이 민요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민요의 자료 수집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기 시작했다. 자료수집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이 나오고 그와 더불어 조사자료도 제시되어 민요에 대한 연구물 등이 제법 활기있게이어져 나왔다. 입문기에는 민족의 고유성과 향토성의 이해에 식자들의 관심이 몰려 있었는데 연구자들의 관심이 몰려있었다는 것은 한편으로 이 시기의 민요 연구의 의식이 그 만큼 단조로웠다고 말할 수도 있다.
참고 자료
강등학,「민요의 연구사와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泮矯語文硏究 Vol.10 No.-』, 반교어문학회, 1999
김진균, 음악민요론, 제1집, 연세대 음악대학, 1967
조복열, 한국음악의 12음 기법에 의한 작곡학적 연구, 문교부 연구보고서;예술진흥계, 국립도서관, 1968
김진균, 민요의 실체, 동산신태식박사송수기념논문집, 계명대출판부, 1969
그 외, 지춘상 한국민요의 형식에 대한 연구시고 - 특히 고형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전남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61
임동권, 한국민요의 사적 연구, 우석대 박사학위논문, 1968
임동권, 한국민요학사 예술논문집 제 2집. 1963
장사훈, 한국민요연구의 과거와 현재, 숙음, 제2집 1968
한국민요대전집 : 김점도, 삼호출판사, 1991
한국의 농요 : 이소라, 현암사, 1988
한국의 민요 : 임동권, 일지사, 1986
조선민요연구 : 최남선, 성진문화사, 1985(재간)
민요의 연구 : 설성경 외, 정음사, 1984
한국민요집 : 임동권, 집문당, 1981
한국민요의 사적 연구 : 정동화, 일조각, 1981
한국민요연구 : 임동권, 이우출판사, 1978
제주도민요연구 : 김영돈, 일조각, 1965
민요의 가창구조에 대하여 〈한국민요학〉 1 : 강등학, 한국민요학회, 1991
제주도 민요의 서술체 구성에 관한 고찰 〈탐라문화〉 11 : 좌혜경, 제주대학교, 1991
한국민요학 관계목록 〈한국민요학〉 1 : 이창식, 한국민요학회, 1991
함안지방의 구비문학 조사보고-민요편 〈한국문화연구〉 : 장관진, 부산대학교, 1989
한국노동민요연구 : 김무헌,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제주도 민요연구-여성노동울 중심으로 : 김영민,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한국민요의 연구 : 정동화,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