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가야의 묘제
- 최초 등록일
- 2005.05.31
- 최종 저작일
- 2005.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가야의 묘제.
2. 가야의 대표적 고분.
1). 대성동고분군.
2). 복천동 고분군.
3). 옥전고분군.
4). 지산동고분군.
5). 도항리고분군.
본문내용
가야의 고분은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가지 가야지역에서 조성된 고분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그 분포는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가야의 옛 영역이었던 경상북도의 선산, 성주, 고령, 대구, 경산과 경상남도의 함안, 창녕, 김해, 고성, 진주, 부산까지 미치고 있다.
가야 고분은 신라고분과 마찬가지로 원삼국시대의 여러 분묘 형식을 계승하고 있으나 각 지역마다 특색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고 있다. 고분의 입지는 대개 남쪽으로 너른 평야가 펼쳐져 있는 구릉지대나 산정부 또는 경사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가야의 고분은 그 구조에 따라 토광묘, 석관묘, 석곽묘, 석실분, 옹관묘 등으로 나누어 진다.
토광묘는 내부 시설에 따라 토광목관묘와 토광목곽묘로 나눌 수 있고, 석실분은 횡구식석실분과 횡혈식석실분으로 나뉜다.
토광목관묘는 가야 초기의 대표적인 묘제로 그 구조는 장방형의 묘광을 파고 나부에 목관을 안치한 형태이다. 토광목관묘는 토광목곽묘보다 폭이 좁고 깊은 것이 특징이며, 목관의 형태는 창원 다호리 유적을 통해 볼 때 통나무관을 사용한 것 같다. 출토 유물은 철기류와 와질토기, 청동제겨울 등이다.
참고 자료
『테마가 있는 한국문화』 이정수, 박원출, 조원영 / 선인
『가야 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혜안
『가야문화사』 김종간 / 작가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