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DNA 표지인자의 이용 및 DNA 다형현상
1. 동물분자 육종을 위한 DNA 표지인자의 이용
2. DNA 다형현상
3. DNA 수준에서의 유전자 다형확인과 개발을 통하여 가축육종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방안
4. DNA 다형현상 관찰방법
1) 제한 효소절편다형
2) 단일 가닥입체다형
3) 임의증폭다형
4) 초 위성체에 의한 다형 관찰법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제한효소절편다형(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는 대상 유전자 혹은 그 주변에 있는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의 인지 부위에 영향을 주는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나 비 균일 교차(unequal crossing over)에 의한 염기서열 변화의 결과로서 형성된다. 즉, 제한효소가 인지하여 자르는 부위에서의 차이가 젤 상에서 다양한 DNA 단편을 보여주는 것이다. 젤 상에서 분리된 DNA 단편을 Southern blotting을 통해서 니트로 셀룰로스 (nitrocellulose) 또는 나일론막 (nylon membrane)에 흡착을 시킨 후, 알아보고자 하는 특정 유전자의 cDNA(complementary DNA)나 DNA 단편에 방사선 동위원소 등으로 표지(labelling)하여 이를 탐침(probe)으로 이용하여 membrane에 흡착된 DNA 단편들과 결합 (hybridization)시킨다. 이를 다시 X-선 필름에 감광 시켜 밴드 차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RFLP는 핵 DNA에서만이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해서도 유전적 거리를 추정할 수 있으며, 유전병의 진단(Gitschier 등, 1985), 연관 분석(Meissen 등, 1988)등이 가능하다. 또한 경제형질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유전자의 RFLP에 관한 연구 는 소, 양, 돼지 등의 가축에서 이루어졌으며, 성장호르몬, IGF-I와 II, prolactin, casein, kinase, albumin 등 여러 유전자가 분석되었다.
참고자료
· ·박영일 외 2인, "가축육종학", 서울 :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9
· ·http://www.jpnc.co.kr/breed/breed1021.html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