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해리성 정체장애자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주*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해리성 정체장애자범죄에 대한 모든 자료입니다많은 도움되세요 ^^
목차
1. 해리성 정체 장애자(다중인격자)에 의한 범죄의 의의1)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의 개념
(1)해리성 정체 장애에 대한 의학적 개념
(2)해리성 정체 장애의 발병원인
(3)그 개념에 따른 진단의 범죄학적 접근
2) 해리성 정체 장애자와 그 범죄의 특징
(1)해리성 정체 장애의 특징
(2)부수적 특징 및 장애
2.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의 실태분석
1)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와 발생현황
(1)한국의 발생현황
(2)미국의 발생현황
(3)일본의 발생현황
2)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 - 그 관련사례
(1)한국의 범죄사례
(2)미국의 범죄사례
(3)일본의 범죄사례
(4)영화 속 사례
3) 대응상 문제점
(1)환자 스스로의 문제
(2)장애에 대한 의학적 진단의 불확실성과 그 진단에 따른 법적처벌
3. 해리성 정체 장애자에 의한 범죄의 효율적 대응방안
1) 불안한 현대 사회의 안정 필요
2) 확실한 법률안 확립
3) 연구, 조사와 보호 치료
*해리성 정체 장애의 치료 : 최면 치료
본문내용
(1) 해리성 정체 장애에 대한 의학적 개념다중인격장애(MPD : multiple personality disorder)란, 정신의학적으로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라고 명칭하고, 앞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해리성 장애(dissociative disorder)의 한 유형으로 통합적 정신기능 즉, 의식 · 기억 · 정체감 · 환경에 대한 지각 등의 붕괴현상을 야기하면서, 반복적으로 개인의 활동을 조절하는 다수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감이나 인격이 존재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해리성 장애는 해리성 기억상실(dissociative amnesia, 중요한 개인적 정보를 상실하며, 단순 기억상실과는 달리 그 망각의 폭이 넓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해리성 둔주(dissociative fugue, 개인의 과거에 대한 회상능력의 상실로 정체감이 혼돈되고 새로운 정체감을 형성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해리성 정체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본문 참조), 이인성 장애(depersonalization disorder, 현실적 판단능력은 갖춰 있으나, 개인의 정신과정이나 신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느낌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해리성 장애(dissociative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를 든다. 해리(解離)라 함은 사전적으로는 풀려 떨어져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데, 의식이나 기억, 특히 정체감의 분리, 붕괴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장애를 통칭하여 해리성 장애라고 한다.
출처 :『정신장애에 진단 및 통계편람』제4판(DSM-Ⅳ,한국어 번역판),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미국 정신 의학회), 하나의학사.
따라서, 공식적 명칭은 DID, 해리성 정체감장애라고 하여야 한다.
이처럼 해리성 정체 장애는 다양한 정체감, 기억, 그리고 의식의 측면을 통합하는 데 실패가 있음을 드러낸다. 각각의 인격 상태는 별도의 이름, 각기 구별되는 개인의 과거력, 자아상, 그리고 정체감을 갖고 있는 것처럼 경험된다. 대개는 주어진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는 일차성 정체감은 수동적 · 의존적이고 죄책감을 느끼고 있으며, 우울한편이다. 그에 반해, 교차되는 정체감들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경우 일차성 정체감과는 대조적인 성격(예: 적대적, 통제적, 자기 파괴적) 을 갖고 있다.
그럼, 해리성 정체 장애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접근해보자.
1. 유병률
확실한 연구 결과가 없다. 전 인구의 0.01%에서 해리성 정체 장애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기는 했다. 과거에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서 1944년까지 문헌에 보고된 것이 72예에 불과했다. 근래에 해리성 정체 장애에 대한 보고가 급증한 것은, DSM-Ⅲ 이루 해리성 정체장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참고 자료
◇ 참고 문헌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미국 정신 의학회, 하나의학사, 1995)
▲성격심리학
(Robert M Liebert · Lynn Langenbach Liebert, ∑시그마프레스)
▲정신장애 사례연구 ― DMS-Ⅳ를 중심으로 ―
(김청속, 학지사)
▲범죄심리학
(홍성열, 학지사)
▲범죄심리학
(이상현, 박영사)
▲DMS-Ⅲ-R 정신장애의 분류와 진단편람
(이근희, 1989)
▲범죄학
(박병식 · 주희종, 법률출판사, 1996)
▲다중인격, 24개의 인격을 가진 한 남자의 처절한 투쟁의 기록
(커머론 웨스트 · 공경희옮김, 도서출판 그린비, 2002)
▲내 안에 살고 있는 타인, 다중인격
(와다 히데키 , 이준석 · 임태홍 옮김, 학지사, 2004)
▲업5 -영혼과의 대화-
(지자경, 서음 출판사, 2001 )
◇ 참고 논문 ◇
▲다중인격장애자에 의한 범죄행위와 형사면책사유 (권창국)
▲성폭력 장기 후유증의 정신과적 치료 (안동현-한양대 정신과 교수)
◇ 참고 사이트 ◇
▲ 네이버 영화정보
http://movie.naver.com/
▲ 네이버 이미지
http://imagebingo.naver.com/?frm=nt
▲ 김대혁 신경정신과 의원
http://user.chollian.net/~kaplan/
▲ 이종훈 정신과 클리닉
http://user.chollian.net/~leesim42/
▲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http://www.imbc.com/broad/tv/ent/mystery/index.html
▲ 차인표의 블랙박스
http://www.kbs.co.kr/end_program/2tv/sisa/blackbox/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심리학]영화 아이덴티티를 보고 해리성 장애 분석 12페이지
- [범죄학]정신장애자 범죄 의의,사례,유형분석,대응방안 13페이지
- [레포트표지]낙엽 레포트표지 1페이지
- [심리] 기분장애 16페이지
- [심리학]해리성 정체감 장애(다중인격)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