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의 개념 및 등장배경을 간략히 설명하고 그 특징의 하나인 성과지향성의 의미와 문제점 그리고 그 문제점을 극복 할 수 있은 방안을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05.05.18
- 최종 저작일
- 2005.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참고하시고 좋은결과 있길 바래여~~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신공공관리의 개념
2. 신공공관리론의 특징
3. 성과 지향적 행정의 의미와 개선방안
4. 신공공관리론의 전망과 과제
Ⅲ. 결 론
본문내용
유지하는 전략개발에 관한 것인 반면, 후자는 근본적으로 공공영역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자는 후자처럼 이데올로기적 배경을 갖고 있지 않다.
2. 신공공관리론의 특징
신공공관리 모형을 전통적 행정 모형과 대비하여 살펴보면 다음 <표>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행정모형의 부적절성에 대한 반응으로 지난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에 신공공관리적 접근이 공공부문에 등장하고 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종래의 전통적인 관료제적 모형의 문제점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공공부문이 작동하는 방식에서 커다란 변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공공관리론이 등장한 배경에는 1980년대 이후의 ‘신보수주의’의 조류가 있음을 말할 것도 없다.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 신공공관리를 주도하고 있는 국가들은 19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후반에 걸쳐 예외 없이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었었다. 경제성장률의 둔화, 경상수지적자의 확대, 재정적자나 공공부문의 누적채무의 증대로 볼 수 있듯이, 1970년대까지의 ‘큰 정부’에 의한 경제운영에 대한 개혁은 시대의 요청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는 산출하는 부담을 낳았다.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정부는 사부문의 경쟁적 우위와 관리개선을 주장하는데 있어 스스로 모범을 보여야만 했다. 즉 공공부문 개선과 국가경제의 리스트럭쳐링간에 명백한 연계가 있었다.특히 공공부문의 활동영역의 비대화와 비효율화는 개혁의 핵심적인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동향은 발전도상국에도 확산되어, 1980년대에 들어 중남미국가들이나 서부사하라국가들의 개발전략은 1970년대까지의 ‘정부주도’에서 ‘시장메카니즘’ 중시로 전환한다.
참고 자료
☞ 김재기, 「행정학」, 법문사, 서울, 2001.
☞ 박연호, 「행정학개론」, 박영사, 서울, 2000.
☞ 이경서, 「행정학강의」, 삼영사, 서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