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정보시스템] 유무선통합, 광대역 통신망의 현황, 미래입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5.05.17
- 최종 저작일
- 2004.10
- 24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유무선 서비스 현황
2) 미래의 유무선통합
3.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국내 무선인터넷 가입자는 3,082만 명(2003. 8기준)에 달한다. 이들 중 94%(2,881만 명)는 브라우저 및 플랫폼 방식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ISMS 방식 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이용은 이용률이 저조하고, 트래픽과 매출액도 미미한 수준이다. 향후 2~3년 내에는 WAP/ME 등의 브라우저 방식 가입자만 남을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우저 및 플랫폼 방식의 가입자는 GVM/KVM(46%), BREW(16%), WAP(11%), ME(15%), Kjava(5.8%)의 분포를 보인다. 브라우저 및 플랫폼 비중변화를 보면 GVM/SKVM, BREW의 비중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BREW의 증가율이 5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BREW가 GVM/SKVM보다 빠른 증가율을 보이는 것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나, 윈도 방식(Graphic User Interface: GUI)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때에도 사용이 편한 GUI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하나는 KTF가 플랫폼을 BREW방식을 채택한 탓에 EV/DO 서비스 이용자들의 증가에 따른 현상으로 파악된다. EV/DO 서비스의 활성화와 BREW 플랫폼의 빠른 증가는 향후 공급될 플랫폼이 GUI 방식이 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미래의 플랫폼은 MP3, 동영상 촬영, 디지털 카메라 기능, 편집, 전송 기능 등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가 가능한 플랫폼이 채용될 것으로 보인다.
2001년 7월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여 2002년 11월 30일부터 상용서비스가 가능해진 WIPI 플랫폼 은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상용화가 늦어져 단말기 출시가 연기되었다. 2003년 하반기에 문제들이 해소되면서 2003년 11월 기준으로 WIPI 탑재 단말기는 14만 3,000대가 보급되었다.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표준 플랫폼으로 채택된 WIPI의 보급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