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전략] 대구 섬유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밀라노 프로젝트 분석을 중심으로
*규*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I 서론부 - 대구 섬유산업의 현재와 문제점 제기II 본론부 -
1. 섬유도시 대구의 현황
2. 섬유도시 대구의 기원
3. 대구 섬유산업의 현재 및 문제점 제기
4. 대구 섬유산업의 국가경쟁력
5. 대구 섬유산업의 핵심 전략
-밀라노 프로젝트-
6. 밀라노 프로젝트의 중심 - ꡒ쉬메릭ꡓ
(1) 쉬메릭의 환경및 국제화 방향
(2) 쉬메릭의 개요
(3) 쉬메릭의 활동
(4) 쉬메릭의 시행착오와 성공기
III 결론부 - 쉬메릭의 당면 과제와 앞으로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WTO 체제의 출범으로 인하여 섬유산업에 있어서 국가 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으며, 시장 개방의 가속화를 통하여 한국의 섬유산업은 개발도상국의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저가제품의 대량 공급과 선진국의 제품고급화 전략의 틈바구니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개발도상국의 저임금과 선진국의 첨단 기술력 사이에서 한국의 섬유기업들은 생존을 위하여 개발도상국으로 생산시설을 이동시키거나, 국내에서 첨단기술 개발투자를 해야만 하는 양극적인 전략적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치 부가적 제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섬유산업의 메카인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더욱이 미국을 비롯한 선진 국가들은 WTO체제 이후 세계 각 국의 금융, 보험, 자본상품에 대한 시장개방 압력과 국내기업에 대한 보조금 및 국내 산업에 대한 세제금융상의 지원을 철폐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한편,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EU, NAFTA, ASEAN과 같은 지역경제의 블록화가 심화되어 자국의 이익을 앞세우는 무역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금융의 환율변동이 극심해지고 세계경제질서가 변화되고 있다. 외국상품과의 교역을 통해 기술수준을 높이고, 자회사의 상품을 수출, 수입하여 선진 기술은 받아들이고 퇴화한 기술은 가감을 버리거나 고칠 필요가 있다. 흔히들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수도권보다는 지방이 국제화에 대해 덜 민감하다. 급변하는 세계환경 속에서 한국 섬유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전략적 제휴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도, 지방도 오늘날 태세에 맞춰가기 위해서 국제화가 필수적이다.
한편, IMF 위기상황 이후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은 급속도로 약화되고 있으며, 또한 섬유쿼터가 완전 자유화되는 2005년부터 예상되는 후발 개도국의 추격과 선진국의 공격에 대비하여 이 지역 섬유산업은 국제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섬유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브랜드를 가진 중견기업 또는 대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구광역시가 추진하고 있는 ꡒ대구지역 섬유산업육성 방안ꡓ을 통하여 직물부문의 경쟁력을 높이면서 궁극적으로 그 직물을 사용하는 패션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국제경쟁력 강화를 통하여 가치 부가적 제휴를 위한 기본적 조건인 최종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Down-stream을 책임질 수 있는 기업들이 육성될 수 있다. 우리나라 최대의 섬유생산지인 대구 및 경북지역은 소품종 대량생산방식, Middle-stream에 편중된 산업구조, 차별화 제품의 개발능력 부족, 취약한 생산기반, 낮은 기술력과 기획력 등으로 인하여 국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의 섬유산업을 21세기의 첨단 고부가가치형 섬유산업으로 구조를 개편하고 세계적인 섬유패션산업의 중심지로 육성발전시키는 것이 밀라노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참고 자료
1. 지역 공동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대구 공동브랜드 ꡒ쉬메릭ꡓ을 중심으로
박경애 , 허순임 :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2. 가치부가적 제휴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에 대한 연구
:대구지역의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박주홍 , 공명재
3. 섬유업체간 전략적 제휴성과의 결정요인
: 대구 ․ 경북지역 중소 섬유업체를 중심으로
박광희(계명대학교 패션정보기획전공),
박경애(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4. 패션도시 대구시와 공동브랜드 쉬메릭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고찰
박경애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5. 대구시 공동브랜드 쉬메릭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구매실태
박경애,김민경,김정수,김현민,서정희,장유정,최소영,허순임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6. 대구․경북 섬유업체들의 협력관계에 관한 실태조사
박광희(계명대학교 패션정보기획전공),
박경애(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7. 지역 브랜드 쉬메릭에 관한 이미지 조사
통계처리 담당자 : 조용주
8. 대구에서 섬유 산업이 발달한 이유
- www.naver.com/네이버 지식검색, 10월 27일
9. 섬유산업에 대한 전반적 개요
- www.naver.com/네이버 백과사전, 10월 27일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한국 안경산업의 발전방향과 전망 10페이지
- 대구 밀라노 프로젝트 37페이지
- [패션과 의상] 밀라노 프로젝트 9페이지
- [글로벌경영] 쉬메릭=대구시 공동브랜드 CHIMERIC=글로벌경영 14페이지
- [지방자치론]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사업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