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사] 한국 불화의 특징과 역사
- 최초 등록일
- 2005.05.16
- 최종 저작일
- 2005.03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불화에 대해
목차
Ⅰ 불화란 의미
1. 불화의 의미
2. 불화의 기원
3. 불화의 재료
4. 불화의 구조와 분화
가. 형태에 따른 구분
나. 용도에 따른 구분
다. 주제에 따른 구분
(1) 불화
(2) 보살화
(3) 나한‧조사도
(4) 신중도
라. 불화의 분화
(1) 상단탱화
(2) 중단탱화
(3) 하단탱화
(4) 괘불도
Ⅱ 불화의 시대적 구분
1. 삼국시대의 불화
가. 고구려의 불화
(1) 창천 1호묘 벽화
나. 백제의 벽화
다. 신라의 벽화
2. 통일신라의 불화
가. 화엄경 변상도
3. 고려의 불화
가. 고려 불화의 특징
4. 조선의 불화
가. 조선 전기의 불화
나. 조선 후기의 불화
본문내용
Ⅰ 佛畵의 의미
1. 佛畵의 의미
불화(佛畵)란 불교 신앙의 내용을 압축하여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좁은 의미의 불화는 절의 법당 등에 모셔 놓고 예배하기 위한 그림, 이른바 부처를 그린 그림만을 뜻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불교도나 이교도를 교화하기 위해 교훈이 되는 부처의 전생설화를 그린다거나 불경에 나오는 교훈적인 장면을 묘사하는 변상도(變相圖), 밀교적인 의식에 필요한 만다라 등이 모두 포함되며 사원의 건물을 장엄하는 단청이나 불단, 불상을 장식하는 그림도 포함된다.
2. 佛畵의 기원
불화의 기원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비나야잡사(毘奈耶雜事) 제 17에 ‘급고독장자(給孤獨長者)가 불타에게 기원정사(祇園精舍)에 어떤 벽화를 그렸으면 하는가’에 관한 질문이 나온다. 석존사후 유물숭배가 성행했었으니 불화도 제작되었을 것이다.
간다라 지방에서 불상이 처음으로 제작된 것은 기원후이므로 불화의 제작도 이 시기 이후의 일로 생각된다. 알려진 최초의 불화는 인도의 아쟌타 동굴벽화이다.
중국불화의 기원은 후한(後漢)의 명제시대(明帝時代) 불교전래와 더불어 있다하나 분명하지 않고 삼국시대의 오(吳)에 조불여(曹佛與)와 그의 제자 위협(衛協)이 7불의 상을 그렸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불화의 기원이 확실하지 않다. 삼국유사 등에 의하면 신라시대에 원효 등 10성(聖)의 화상과 불보살상도를 그렸다하나 전해지지 않고, 다만 신라 화엄경 사경(寫經)의 변상도가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불화라 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우수한 불화가 많이 제작되었으며, 80여점 전한다. 조선시대에도 많은 불화가 제작되었으나 한국사원에 전하는 불화들은 거의 대부분이 18세기 이후의 작품들이다.
3. 佛畵의 재료
불화를 만드는 재료는 대개 흙, 나무, 베, 비단, 종이, 금속, 돌 등 매우 다양한데 이러한 재료의 성질에 따라 흙바탕, 나무바탕, 베바탕, 종이바탕 등의 불화로 나누게 되며 이 바탕에 따라 불화의 기능은 물론, 교리적인 면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