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풀어가는 말
2. 1 유선매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술
2. 2 무선매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술
3. 맺어가는 말
본문내용
3. 맺어가는 말
홈 네트워크란 정보를 처리, 관리, 전달 및 저장함으로써 가정내의 여러 계산, 관리, 감시 및 통신 장치들을 연결 및 통합할 수 있게 해 주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체로써 가정 내에서의 PC와 인터넷 사용이 확산되고 전기 통신 기술이 진보하고 있으며, 소형 장치의 개발이 진전되면서 홈 네트워크
기술 개발이 최근 활발하게 추진중입니다.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은 이더넷등의 전통적인 방법으로부터 기존의 댁내 시설인전화선과 전력선을 통한 통신 기술,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IEEE1394 규격등의 유선방식과 HomeRF, 무선랜, 블루투스등의 무선분야의 네트워크 기술이 최근 이슈화 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PC 위주의 사용자 인터넷 환경은 가정 내에서 다양한 정보가전과 사용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으로 변모하고 있으나, 다양한 홈 네트워크 기술 중 어떤 기술이 더 우세하고 앞으로의 시장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8고 예측하기 보다는 가정 내에서의 홈 네트워크 응용 서비스들을
생각함에 있어 어떠한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 기술들을 접목시켜 이를 지원할 것인가 하는 것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인지 지켜봐야 할것 같습니다.
참고자료
· HomePNA, http://www.homepna.org
· IEEE1304, http://www.ieee1394.org
· HomeRF, http://www.homerf.org
· IEEE802.11, http://grouper.ieee.org/groups/802/11
· Bluetooth, http://www.bluetooth.com
· 전호인, 경원대학교, http://www.tta.or.kr/StdInfo/jnal/jnal65/htm/8-3.htm, “IEEE1394
·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오승현 외, http://docdo.dongguk.ac.kr/publication/IEEE1394/IEEE1394.htm, “IEEE1394
· 기반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 박광로 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TA 저널 제 37호, “HomePNA 표준화 동향”
· 조성선, http://balhae.postech.ac.kr/bluetooth.doc, “블루투스 기술 및 시장동향”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