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현대사] 한국광복군 창설과 활동
- 최초 등록일
- 2005.05.14
- 최종 저작일
- 2004.10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한국광복군의 창설 과정
■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창설 배경과 준비
○ 창설배경
○ 광복군의 창설 준비
○ 한국독립당의 창군 계획
■ 한국광복군의 창설
○ 임시정부의 창군 선언과 광복군 총사령부의 성립
○ 9개항 행동준승(行動準繩)과 조선의용대의 편입
Ⅱ. 한국광복군의 활동
■ 초모활동(招募 : 의병이나 지원병등을 모집함)
○ 광복군 기본전략의 중추
○ 활동 및 성과
■ 교육훈련 및 선전(宣傳)활동
○ 교육훈련
○ 선전활동
■ 인도, 미얀마전선 공작대 파견
○ 파병과정
○ 영국군과의 공동작전
■ 한미군사합작과 전략첩보(OSS)훈련
○ 한미군사합작
○ 전략첩보(OSS)훈련
■ 국내진공작전과 정진대(挺進隊)파견
○ 국내진공작전
○ 정진대(挺進隊)
■ 결 론
본문내용
Ⅰ. 한국광복군의 창설 과정
■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창설 배경과 준비
○ 창설배경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군사 활동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해 나가기 시작한 것은 1919년 말부터였다. 임시정부의 군사정책은 대체로 세 방향에서 추진되고 있었다. 하나는 군대를 편성한다는 원칙 하에 군대의 편제와 조직에 대한 법규를 마련한 것이고, 둘째는 군사간부의 양성과 병사를 모집하려는 것이며, 셋째는 만주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독립군 단체들을 임시정부에서 통할 내지 지휘하려는 것이었다. 1919년 12월 18일자로 임시정부는 ‘대한민국육군 임시군제(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대한민국육군임시군구제(大韓民國陸軍臨時軍區制)’․‘임시육군무관학교조례(臨時陸軍武官學校條例)’ 라는 군사문제와 관련된 중요한 법안을 발표했다. 이중 ‘육군임시군제’는 일종의 군사조직법으로 군대의 편제와 조직에 관한 기초적인 상황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임시정부는 군단을 최고 목표로 한 군대편성을 계획하였다. 이와 같은 군사계획은 당시의 조건으로 인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지는 못하였으나 1940년 한국광복군을 창설하는데 그 모태로 작용하였으며, 임시정부의 기본적인 군사정책 방향이 되었다. ‘육군임시군제’가 임시정부의 군사정책에 대한 기본원칙과 방향을 정립한 것이라면 ‘육군임시군구제’와 ‘육군무관학교조례’는 이의 부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병력을 모집하고 군사간부를 양성하기 위한 방법을 규정한 것이었다.
1920년대 중반부터는 임시정부는 유지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침체에 빠지게 된다. 임시정부는 상해(上海)에 위치하고 있던 이유로 군대를 편성할 만한 인적 기반을 갖추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만주 지역의 독립군 단체들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지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리고 재정적인 주요 루트인 연통제와 교통국의 조직이 일제에 발각되어 재정적 뒷받침도 마련되지 못하였다. 그 이후 1923년에 있었던 국민대표회의를 통해 새로운 독립운동기관의 건립이 논의되기도 하였지만, 이것마저도 창조파와 개조파의 대립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참고 자료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일조각, 1993
조영진 『항일무장독립투쟁사』2, 도서출판 일원, 2002
신용하 『의병과 독립군의 무장독립운동』(주)지식산업사, 2003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독립운동사 강의』한울아카데미, 1998
신재홍『항일독립운동연구』 도서출판 신서원, 199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21, 탐구당,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