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식물의 특징
귀화식물은 그 종수가 많으며, 종에 따라 많은 차이점이 있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다.
① 귀화식물은 번식력이 왕성하다. 도심지에서 우리의 토종민들레를 구축했다고 흔히 말해지는 서양 민들레의 종자생산량은 재래종 민들레의 수십 배나 되며, 재래종 민들레는 봄철에만 발아하는데 비해, 서양 민들레는 연중 발아한다. 또 단위생산을 함으로써 단 한 개체만 침입해도 다른 개체의 수정 없이 후손을 생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망초나 개망초 등은 많은 종자를 생산하며, 조건이 여의치 않아 식물체가 5cm 미만일지라도 수백 개의 종자를 생산한다.
② 귀화식물은 거의가 양지식물로서 조도가 낮은 숲 속에서는 살아갈 수 없다. 따라서 건물을 짓거나 길을 낼 때 생긴 길가, 절개지, 휴경지, 논밭 등에 침입하여 무성히 자란다.
③ 귀화식물은 햇빛만 받을 수 있으면 어떤 토양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쓰레기장 등 질소분이 많은 곳은 물론 척박한 곳에서도 생명을 유지하는데, 특히 아까시나무나 족제비싸리를 비롯하여 토끼풀, 붉은 토끼풀, 자주개자리 같은 콩과식물은 뿌리혹과 공생하여 고정 이용하고 있다.
④ 귀화식물의 종자는 뛰어난 분산수단을 가지고 있다. 망초, 개망초, 가시상치 같이 깃털이 있어 바람에 의하여 멀리 산포시키거나 미국가막사리, 가시도꼬마리, 울산도깨비바늘등 씨앗에 가시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 등에 의하여 멀리 산포되며, 미국제비꽃이나 유럽쥐손이는 씨껍질이 터질 때의 탄력으로 씨앗을 멀리 터뜨리기도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