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회계] 적시생산시스템
- 최초 등록일
- 2005.04.15
- 최종 저작일
- 2005.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Ⅰ. 서언
Ⅱ. JIT의 목적
Ⅲ. JIT의 적용요건
Ⅳ. JIT생산시스템의 주요특징
Ⅴ. JIT의 재무적 이점
Ⅵ. JIT시스템과 역산원가계산
Ⅶ. JIT가 원가관리회계에 미치는 영향
Ⅷ. 결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언
적시생산시스템(just-in-time: JIT)이란 수요에 따라서 필요한 부품을 구입하거나 반제품을 생산하는 수요-풀시스템(demand-pull system)이다. 적시생산시스템에서는 필요한 양 만큼의 원재료를 필요한 시점에 조달 또는 생산하므로 원재료의 재고를 원천적으로 제거한다. 즉, 제품에 대한 수요가 파악되면 생산계획이 세워지고 생산계획에 따라 해당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공정의 마지막 단계로부터 시작하여 생산공정의 순서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원재료나 부품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필요한 양만큼 원재료를 주문하거나 생산하게 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적시생산방식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를 구축해야 할 필요에 의해 등장한 생산방식이다.
이 생산방식은 일본의 도요다 자동차 회사가 처음으로 도입한 생산 및 재고관리시스템으로서 무재고시스템(zero inventory system)·간판방식(kanban system)·도요다 생산방식으로도 불리운다.
JIT생산방식에 있어 재고란 낭비이며 이러한 낭비는 생산을 위하여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최소량의 설비, 자재, 부품 및 인력을 초과하는 모든 것이 된다. 기업의 경쟁력은 원가, 품질, 유연성의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것들은 기업의 활동을 관리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전통적 생산방식 아래서는 기업의 경쟁력 원천인 원가, 품질, 유연성의 세 가지 요소는 서로 상충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가와 유연성이 희생되어야 하며 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품질과 유연성이 희생되어야 한다. 그러나 JIT생산방식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요소들의 상충관계를 끊어버리는데 이것은 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모든 활동을 제거할 때 가능해진다.
참고 자료
1. 송상엽·김용남·박승구, 원가관리회계, 웅지경영아카데미, 2002, pg992, 995~996
2. 유관희, 원가관리회계, 弘文社, 2000, pg578~579
3. 유관희, 원가관리회계, 博英社, 1998, pg220, 240~241
4. 정병욱·조두현, 원가관리회계, 세학사, 2000, pg356~357
5. Horvgren·Foster·Datar, 원가회계, 大英社, 1996, pg798~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