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목차
Ⅰ 서론 - 촘스키 변형문법의 생성배경
Ⅱ 본론
1. 변형문법의 기본가정 및 주장
2. 변형문법의 전개과정( 각 이론의 한계점 포함)
3. 국어에의 적용
Ⅲ 결론
1. 변형문법의 의의 및 우리말에 끼친 영향
2. 변형문법의 한계점
본문내용
Ⅰ 서론 - 촘스키 변형문법의 생성배경
변형문법은 기술언어학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한데서 비롯되었다. 기술언어학의 목표는 언어의 어떤 계층에 따른 구조를 기술하는 것으로 각 언어는 저마다 독특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언어에 대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여야 하며 그 결과 얻어진 자료가 연구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어는 음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언어의 연구는 음성형식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하며 언어기술은 낮은 계층의 음운구조를 기술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그 상위 계층의 문법구조를 기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기술방법은 자료를 분류하고 정리하는데 주력을 강조하였는데 자료에 주력하다 보니 이론의 연구가 소홀하게 되었다. 이의 한계점을 나열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어진 자료를 있는 그대로 기술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언어현실에 대한 이유는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외형의 관찰에다 한계를 지웠으므로 내면의 관찰은 할 수 없었다. 셋째, 각 언어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므로 언어 일반의 공통된 보편성을 추구할 수 없었다. 따라서 내면에 대한 분석은 되지 않았으며 그 기술은 얕은 표면의 문제에만 한정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함을 보충하고 언어연구를 좀 더 진전시키기 위해서 새로이 등장한 이론이 촘스키 학파에 의해서 제창된 변형문법이다. 김승곤 - 『변형생성문법론』, 1982, 건국대학교 출판부, 11~16면
변형문법은 생성문법, 변형-생성문법, 보편문법 등 여러 가지 용어로 불리며 정해진 이론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끊임없이 수정되는 이론으로 본고에서는 변형문법의 초기모델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개괄적인 모형과 변화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아울러 국어에의 적용 시의 논란에 대해 다루어보겠다. 이윤하 교수님의 강의프린트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초기이론, 표준이론, 확대표준이론의 3가지 범주로 구성하겠으며 특히 확대표준이론에 포함되는 내용은 강의프린트와 동일하게 구성하겠다. 덧붙여 국어에 적용할 필요가 없는 몇몇 이론들은 포함시키지 않겠다.
참고 자료
권재일 - 『한국어 문법의 연구』, 1994, 서광학술자료사
김기혁 - 『국어문법연구』, 1995, 박이정출판사
김동석 - 『N. Chomsky의 보편문법』, 1991, 형설출판사
김승곤 - 『변형생성문법론』, 1982, 건국대학교 출판부
김영희 -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1988, 탑출판사
남기심 역 - 『국어 문법의 탐구Ⅲ - 국어 통사론의 문제와 전망』, 1996, 태학사
목정수 - 『한국어 문법론』, 2003, 도서출판 월인
박영수 - 『변형생성문법론』, 1982, 형설출판사
양동휘 - 『문법론』, 한국문화사, 1994
요한네스 베헤르트 - 『생성변형문법입문』, 1980, 학문사
이흥배 - 『최소주의 통사론』, 2002, 한국문화사
Chomsky noam, 이승환․임영재 역 - 『생성문법론』, 1975, 문선사
Elizabeth A. Cowper, 이선우 역 - 『통사이론 지배-결속접근법』, 1994, 화신문화사
Lidia White, 서진희․이기정․이다미 공역 - 『보편문법과 제2언어 습득』, 1997, 도서출판 동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