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사업론] 의료사회사업 실천과 윤리
- 최초 등록일
- 2005.03.27
- 최종 저작일
- 2004.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의료사회사업론 들으시는 분들께 아주 유용하게 쓰일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사회사업실천에서의 윤리와 가치
1) 윤리학 조항
2) 윤리 조항과 법
3) 전문협회의 윤리강령
(2) 의료사회사업실천과 윤리적 딜레마
1) 안락사와 윤리적 딜레마
2) 중증 장애 신생아의 치료와 윤리적 딜레마
(3) 의료분쟁과 윤리
1) 의료분쟁의 정의
2) 의료분쟁의 조정기관
3)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사례>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KASW Code of Ethics)>
본문내용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사업실천은 그 자체가 윤리적 성격을 띠며, 전문직으로서 사회사업가는 직면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도덕적 판단과 윤리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 따라서 사회사업가는 인간을 원조하고 개성과 잠재력을 실현시키며, 상대방의 권리와 의견을 존중해 실천할 의무가 있다. 이런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이 사회사업의 기본적 가치이다. 사회사업 전문직은 클라이언트, 가족, 동료, 기관, 사회에서의 이런 책무를 둘러싼 윤리적 갈등사이에서 신중한 태도로 윤리적으로 적합하게 실천을 해야 한다.
(1) 사회사업실천에서의 윤리와 가치
사회사업가가 사회사업의 실천과정에서 겪고 있는 다양한 상황의 윤리적 갈등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본적인 개념인 윤리와 가치에 대해 알아야 한다.
윤리란, 사물의 이치나 어떤 행동이 도덕적으로 올바른가에 관한 질문과 관련되는데, 일반인의 윤리는 인간관계에서 그 사회의 도덕률과 가치에 기초해서 행하고 지켜야 할 의무를 밝히는 것이고 전문가의 윤리란 어떤 특수한 역할의 입장, 즉 전문가 역할을 수행하는 데 수반하는 특수한 의무를 규정한 것이다. 전문직 윤리 중에서도 사회사업의 윤리에 대해 살펴보면 Levy는 이것을 사회사업실천에 있어서의 가치로서 행동의 비공식적 인정에 의해서 또는 전문직과 관련된 공식적 행동에 의해 사회사업가가 합의적으로 채택하는 가치의 행동적 차원이라고 했다. 이러한 가치를 기초로 해서 사회사업가는 결정을 내리고 활동을 계획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일련의 선택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사업실천에서 사회사업가는 그의 가치 평가를 기준으로 끊임없이 선택하며 과업을 수행해 나간다.
참고 자료
• 의료사회사업론, 윤현숙 외 2명, 나남출판사(2001년), p.125 ~ p.147
• 의료사회사업론, 한인영 외 1명, 학문사(2000년), p.287 ~ p.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