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최초 등록일
- 2005.03.23
- 최종 저작일
- 2005.02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 론
Ⅱ. 공동모금의 이론적 배경
1. 공동모금의 개념
2. 공동모금의 등장배경
3. 공동모금의 특성
4. 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
5. 공동모금조직의 구조
6. 공동모금의 모금 및 배분
Ⅲ. 외국의 공동모금제도
1. 미국
2. 일본
3. 호주
Ⅳ. 우리나라의 공동모금 현황
1. 우리나라 공동모금 관련 법 제정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모금 및 배분 실태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4.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개선방안
Ⅴ. 결 론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공동모금은 1970년대 정부의 주도하에 실시되어 최초 시행은 수십년이 되었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공동모금은 1998년 개정법에 의해 시행된 시점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전의 공동모금활동은 정부기관 중 하나로 공동모금회가 조직되어 운영되었다. 이에 따라 공동모금회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성이 제약되고, 시민의 참여에 한계가 있으며 국민을 위해 쓰여야 할 모금이 국가복지사업에 쓰이는 문제가 생기게 된 것이다. 또한 배분과정의 투명성과 공명성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아 기부를 한 개인이 직접적으로 기부의 결과를 느끼지 못해 신뢰도가 떨어지고 모금활동이 줄어들기도 하였다. 1998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에서는 민간단체에게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고, 활동과 대상의 범위를 증가시켜 공동모금제의 특징에 맞는 제도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공동모금제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동모금제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선진국 중에서 공동모금제도가 가장 잘 되어 있고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과 호주, 그리고 아시아 지역에서 우리나라와 환경이 유사하고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일본의 공동모금제를 살펴보았다. 공동모금제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문헌연구방법과 각 공동모금회의 지회 홈페이지를 방문해 자료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 등을 병행하였다.
Ⅱ. 공동모금의 이론적 배경
1. 공동모금의 개념
공동모금의 개념은 “사회사업 시설을 위한 자금을 일반대중으로부터 모으는 운동”으로 정의되어 있다(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 그러나 이것이 명확한 구분은 아니다. 분명한 것은 공동모금제도는 사회 연대의식과 민주주의 가치관의 발로라는 것이다. 공동모금제도는 지역주민들에게 가장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부분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민의 참여를 통해 지원하는 제도이다.
참고 자료
권오득(1995), 사회복지 공동모금법(정부안)에 대한 의경, 사회복지정책, 제1집. pp. 147-155.
김범수(1999), 공동모금의 도입과 모금 확대방안, 평택대학교 논문집, 제13집, pp. 130-150.
방성수(2001), 사회복지공동모금제도의 발전 방안, 복지행정논집, 제11집 제1권, pp. 61-83.
백종만(1996), ‘해방 50년과 남한의 민간복지‘ 상황과 복지, 한국사회복지학연구회, pp. 7-43.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법률 제07159호)(2004), 법제처.
최일섭․류진석(2004),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고은숙(1999),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한동우(2001), 주요국 공동모금조직의 모금 및 배분활동 연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동모금의 이해와 시민참여 방안(200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5년의 발자취(200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양용희외(1997), 비영리조직의 모금전략과 자원개발, 서울:아시아미디어리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