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공학] 전분 제조 및 현미경으로 녹말 입자 관찰
*동*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쟤가 열심히 쓴 레포트입니다...따끈따끈한 레포트입니다~~
도서관에서 책을 열심히 찾아가면서 쓴 레포트니까요...
후회하시지는 않을 겁니다...
목차
1. 실험 제목2. 실험 목적
3. 이론 및 원리
(1) 전분(Starch)
(2) 전분의 호화, 노화, 호정
(3) 전분 입자
(4) 전분의 분해효소
(5) 녹말-요오드 반응
(6) 현미경
4. 실험 방법
(1) 감자전분
(2) 고구마전분(탱크침전법)
(3) 옥수수전분(습식방법(wet milling))
(4) 밀전분(마틴(Martin)법)
(5) 쌀전분
(6) 녹말 입자 관찰
5. 실험기구 및 시약
(1) 실험재료
(2) 실험기구
(3) 시약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 전분 제조 및 녹말 입자의 관찰2. 실험 목적 : 직접 전분(starch)을 제조해보고, 녹말-요오드 반응으로 제조한 전분의 유무를 확인해 본다. 그리고 전분의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해 봄으로써 전분의 특성과 전분 입자의 모양을 알아볼 수 있다.
3. 이론 및 원리
(1) 전분(Starch)
식물에서 영양물의 저장물질은 전분(starch)이며, 전분에는 두 종류가 있다. 가지가 없는 형태의 전분인 아밀로오스(amylose)는 α-D-glucose가 분기없이 α-1,4 glycoside 결합을 통해서 쇄상(straight chain)으로 중합된 것이다. 아밀로오스의 분자 양쪽에는 환원성 말단과 비환원성 말단을 가지고 있다. 아밀로오스는 입체적 구조에 의해서 대기 6개 정도의 α-glucose의 연결체가 한 회전을 하는 정도의 나선상의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이 나선의 내부공간에 가끔 다른 화합물들이 포접(inclusion)되어 포접화합물(inclusion compound)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요오드를 반응시키면 이 포접화합물과 작용하여 청색 정색반응을 나타내므로 지시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밀로오스의 사슬 길이가 길어질수록 나타나는 색깔이 진해진다. 아밀로오스와 달리 가지가 있는 형태의 전분인 아밀로펙틴(amylopectin)은 24~30개의 α-1,4 결합마다 약 한 개 정도의 α-1,6 결합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지를 친 정도가 더 낮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글리코겐과 유사하다. 아밀로펙틴은 나선형태를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포접화합물을 형성하지 않으며 요오드와 거의 반응하지 않고, 아밀로오스와 달리 정색반응에 의한 빛깔도 자색이다. 아밀로펙틴의 분자량은 아밀로오스의 분자량보다 훨씬 크며, 아밀로펙틴 분자 내에는 적어도 1,000개 이상의 glucose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α-1,4 결합이나 α-1,6 결합 이외에 α-1,3 결합 양식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은 둘 다 타액샘과 췌장에서 분비되는 α-amylase로 빠르게 가수분해된다.
참고 자료
(1) 농산식품가공학. 고정삼 저. 광일문화사. 2002, 26~33pp, 87~99pp.(2) 농산식품가공학. 김재욱 외 3인 저. 문운당. 2002, 161~195pp.
(3) 생물학실험. 한국생물과학협회. 아카데미서적. 1997, 25~35pp.
(4) 식품가공학. 손태화 외 3인 저. 형설출판사. 2002, 62~64pp, 276~282pp.
(5) 식품가공학. 장학길, 이영택 저. 신광출판사. 2004, 177~193pp.
(6) 식품가공학실험. 강윤한 외 3인 저. 북스힐. 2003, 44~45pp, 46p, 47p.
(7) 식품과식품화학. 박유식 저. 효일문화사. 1999, 56~61pp.
(8) 식품미생물학실험. 김주영, 김현옥, 조성호 저. 훈민사. 2002, 12~15pp.
(9) 최신식품가공학. 송재철, 박현정 저. 유림문화사. 2000, 424~433p.
(10) 최신식품화학. 한명규 저. 형설출판사. 2002, 66~71pp.
(11) 표준식품분석학. 채수규 외 4인 저. 지구문화사. 1999, 420~422pp.
(12) 현대식품가공실험. 안용근 외 8인 저. 효일문화사. 2000, 11p.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식품분석] 현미경에 의한 전분입자 관찰 16페이지
- [식품과학]전분의 정의와 특성 7페이지
- 당의 정색 반응 (barford 반응, seliwanoff반응, molish반응) 6페이지
- 전분 제조 및 녹말 입자 관찰 6페이지
- 전분 제조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