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쇼팽, 스필만, 그리고 레비나스
(1) 폴란드 민족주의의 슬픈 초상(icon), 쇼팽
(2) 바르샤바에 홀로 남은 ‘연주하는’-‘인간’, 스필만
(3) 전체성에 대한 항거, 레비나스(1906-1995)
3. 쇼팽과 스필만의 마주침과 전체성에 대항하는 그 속의 공명
(1) 녹턴 C# 단조(Nocturne in C-sharp Minor(1830)
(2) 발라드 1번 G 단조(Ballade No.1 in G Minor, Op.23)
(3)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 G장조(Grande Polonaise brillante preceded by an Andante spinato, Op.22)
4. 레비나스 사상으로 바라본 호젠펠트 대위의 시간의 열림과 죽음의 비옥성
(1) 호젠펠트 대위의 타자를 향한 욕망과 무한을 향한 시간의 열림
(2) 호젠펠트 대위의 죽음과 비옥성(fécondité)
5. 결론 : 이성 일변도의 세계에 대한 경종
본문내용
0. 들어가며 :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
로만 폴린스키(Roman Polanski) 감독의[피아니스트 The Pianist]는 제55회(2002년) 깐느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이 영화는 2차 대전 당시 폴란드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활동했으며, 전후에 폴란드 고전음악과 대중음악의 아버지가 된 유태인 피아니스트 블라디슬라브 스필만(Wladyslaw Szpilman) 스필만이라는 그의 이름은 독일어의 Spiel(연주)과 Mann(인간)을 합친 것과 발음이 같다. 즉, 독일인이 들었을 때 ‘연주하는 인간’이란 뜻이 느껴진다.
의 자서전(1946년작-원제목은 도시의 죽음Death of a City) 블라디슬라브 스필만, 『피아니스트 : 1939년부터 1945년까지 바르샤바에서 살아남은 한 사람의 수기』, 김훈譯, 황금가지(2002)
을 기초로 하여 영국 극작가 로널드 하우드(Ronald Harwood)에 의해 스크린화된 것이다.
그 자신도 유태인인 폴린스키 감독이 ‘내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라고 묘사한 [피아니스트]는 홀로코스트에 대한 슬픈 기억이다. 배경은 2차대전 당시 독일군에게 점령당한 폴란드의 바르샤바이다. 독일군은 지도부의 명령에 따라 유태인들을 게토(Ghetto)로 분리 이주시킨 뒤, 필요에 따라 노동도구로 착취했고, 필요가 없어지면 가스실에서 죽였다.
영화는 바르샤바의 두려움과 공포 속에서 한 세기 전의 폴란드의 영웅이었던 쇼팽을 연주하는 한 유태인 피아니스트인 스필만에게 클로즈업된다. 그는 전쟁 중 가족 모두를 독일군에 의해 잃게 되고, 모든 사람이 떠나버린 바르샤바에 남아있는 마지막 한 ‘인간’이 된다. 배고픔과 추위, 그리고 독일군의 수색 등의 죽을 고비를 수없이 넘긴 후, 그는 ‘인간의 조건’을 지키려는 한 독일군 장교를 만나게 되고, 그의 '부탁'으로 죽음의 도시 속에서 쇼팽이라는 아이콘을 연주하게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