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는 역사적 사실들이 꽤 복잡하게 진행되는 시기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쓴 리포트입니다. 필요하신 분들한테 꼭 도움이 될 거예요.
목차
서론
본론
1. 북위의 성립과 발전
1) 북위의 성립
2) 북위의 발전
3) 효문제
2. 북위의 정책과 제도
1) 9품중정제
2) 균전제
3) 삼장제
4) 한화정책
5) 성족분정정책
3. 북위의 분열
4. 북제의 성립과 제도
5. 북주의 성립과 제도
6. 수의 성립
1) 북제의 멸망
2) 양견과 수의 성립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서기 220년, 한(漢)이 몰락한 이후부터 수(隋)가 중국을 재통일하는 589년까지의 대분열기를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대라고 부른다. 위진남북조라는 말은 삼국의 위(魏)와 그를 이은 사마(司馬)씨의 정권을 말하며 남북조는 5호16국 시대를 통일한 북위(北魏)와 북위에서 분열한 북제와 북주를 이르는 북조와 양자강 이남으로 옮겨간 한인의 정권인 송(宋)·제(齊)·양(梁)·진(陳)을 남조라 하여 이를 함께 이르는 것이다. 남조의 네 개 왕조와 삼국의 오(吳), 흉노(匈奴)에 북중국을 강남(江南)에 정권을 수립한 동진(東晋) 316년에 진이 흉노에 멸망하자, 강남지방에 있던 사마예(司馬睿)가 오의 수도였던 건강(健康; 建業, 지금의 남경(南京))에서 즉위하여 원제(元帝)가 되었다. 이에 구별하기 위해 흉노에 멸망한 진을 서진(西晋), 강남의 진을 동진이라 한다.
을 흔히 6조로 부르기도 한다.
위·오·촉(蜀)의 삼국시대(三國時代)가 끝이 나고 진(晋)이 통일을 하였는데 진은 종친들을 왕으로 삼아 지방을 통치하게 하였다. 이에 제왕들의 힘이 강력해져 제왕들 간의 내분이 일어났는데 이를 팔왕(八王)의 난(難)이라 하며 이후 국력이 쇠한 진은 흉노의 대장 유연(劉淵)의 일족에 의해 멸망한다. 이후에 북방의 유목민족에게 북중국을 빼앗긴다. 이러한 북방의 유목민족은 5호16국(五胡十六國) 5호는 중국 변방의 흉노, 갈(羯), 선비(鮮卑), 저(氐), 강(羌)족을 말하며 16국은 흉노의 한(漢), 북량(北涼), 하(夏), 갈의 후조(後趙), 선비의 전연(前燕), 후연(後燕), 남연(南燕), 서진(西秦), 남량(南涼)과 저의 전진(前秦), 후량(後凉), 강의 후진(後秦)에다가 한인(漢人)이 세운 전량(前涼), 서량(西涼), 북연(北燕)과 이를 통일한 선비의 북위(北魏)를 말한다.
으로 일컬어졌으며 이러한 5호16국의 혼란스러운 시대를 종결시키고 중국재통합의 발판을 마련한 것은 선비족의 탁발(拓跋) 가문이 세운 왕조인 북위 왕조였던 것이다. 이러한 북위 왕조가 중국역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처음으로는 북위가 어떻게 성립을 하였는 지와 어떤 정책을 이용하고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북제(北齊)와 북주(北周)로 분열이 되었으며 그 후에 양견(楊堅)이 수를 세워 중국재통합이 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참고 자료
레이황, 중국 그 거대한 행보, 경당, 2002.
중국사 연구실, 중국역사(상), 신서원, 1993.
윤내현, 중국사1, 민음사, 1993.
진순신 지음, 이혁재 옮김, 중국사 오천년1, 다락원, 2002.
미야자키 이치시다 지음, 임대희, 신성곤, 전영섭 옮김, 구품관인법의 연구, 소나무, 2002.
http://ki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