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받은 레포트입니다 ^^
목차
1. 들어가며
2. 다산 정약용
1) 다산의 생애
2) 다산의 정치사상
3) 다산의 경제사상
3. 실학사상의 형성배경
1) 실학사상의 내재적 요인
2) 실학사상의 외재적 요인
4. 실학사상의 특징
1) 성리학을 비판하면서도 인정한 실학
2) 새로운 인간관의 정립
3) 자연과 인간의 분리
5. 실학사상의 성격
1) 민족적 성격
2) 만본·평등적 성격
3) 근대 지향적 성격
6. 실학사상의 사상경향
7. 나가면서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한국사상사에 있어서 실학사상은 주자학사상의 자유적 성격을 비판하면서,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정치·경제·사회적인 실천론을 전개하면서 17세기 후반에 대두하여 19세기 전반에 개화한 사상으로서 반계 양형원(磻溪 枊馨遠), 성호 이익(星湖 李瀷), 담헌 홍대용(湛軒 洪大容), 연암 박지원(燕岩 朴趾源), 초정 박제가(楚亭 朴濟家),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혜강 최한기(惠崗 崔漢綺) 등 일련의 사상가들에 의해서 전개된 사상을 말한다.
실학사상이 우리 역사에 나오게 된 배경에는 16세기 후반부터 본격화 된 정치적인 대립과 당파간의 당쟁으로 인해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거듭된 외세의 침략에도 변변히 대처하지 못한 유교, 즉 성리학이 보여준 일종의 무능력에 그 원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다산의 경제사상
다산의 경제사상은 먼저 중농경제사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가 38세 곡산 부사로 있을 때 정조에게 올린 응지론농정소(應旨論農政疎)에 편농(便農), 후농(厚農), 상농(上農)의 3개조를 진술하였는데, 이는 농업 발전책을 중심으로 하여 농촌 미신풍 속의 타파, 과거제도의 개정, 광업의 통제 및 양민 병역법의 변경 등 제정책까지 논했는데, 이는 당시 국왕의 자문에 대한 답인만큼 실현가능하였으며 종래 자연발생적인 영농방법을 과학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고쳐보려는 의도가 전편에 일관되어 있는 것은 그 시대에 뛰어난 제안이었다.
참고 자료
※ 참고 문헌
김영호,「실학」『한국사론 4 (조선후기)』에 所收, 국사편찬위원회, 1986
반제동,『조선시대사론강』, 서울, 교문사, 1995
최완기,『조선시대사의 이해』, 서울, 느티나무, 1992
유형원외, 강만길외 역,『한국의 실학사상』, 서울, 삼성출판사, 1994
주홍성·이홍순·주칠성 공저, 김문용 · 이흥용 역『한국철학사상사』, 서울, 예문서원, 1989
유동원,『한국실학개론』, 정음 문화사, 1983
최익한,『한국실학개론,』,『실학파와 정약용』, 청년사, 1989
『목민심서』권4, 吏典 제 1조 束吏.
NAVER 백과사전 中 『실학사상』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