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혈] 토혈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05.01.31
- 최종 저작일
- 2004.12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응급실 토혈 레포트 입니다
목차
Ⅰ. hematemesis 유발 질환
Ⅱ. 기본사정
Ⅲ. 진단검사
Ⅳ. 중재
Ⅴ. 간호 과정
본문내용
Ⅰ. hematemesis 유발 질환
1.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소화성 궤양은 표피층 아래 점막mucosa내에 파괴가 있는 것이다. 식도하부, 위, 십이지장, 공장 등이 포함된다. 급성 또는 만성궤양이 생길 수 있으며, 급성 궤양인 경우에는 점막층과 때로는 점막하층까지 포함된다. 반면에 만성궤양은 점막층의 심부조직과 근육층으로 침식되며 치유되고 난 후에 반흔조직을 형성한다. 스트레스 궤양은 이론적으로 소화성 궤양은 아니지만, 점막층에 단지 미란이 있을 뿐이며 점막층 아래까지 확장되지 않으므로 소화성 궤양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스트레스성 궤양은 가장 흔한 궤양 형태이다.
1) 궤양의 종류
(1) 위궤양(Stomach ulcer)
위의 anturum과 소만부에서 일어난다.
혈관을 침식하며 출혈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많은 경우 위궤양이 악성위암으로 변형되므로 전암 조건의 병소로 간주되기도 한다.
(2) 십이지장궤양(duodenal ulcer)
소화성 궤양 중 가장 흔한 형이다.
주로 십이지장 구부분(bulb)이나 유문 근처에 생긴다.
대상자는 젊고(25-40세), 남성이 여성보다 4배 이상 많이 일어난다.
봄과 가을에 흔히 일어나서 완화되었다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십이지장 궤양은 자정에서 3AM사이에 예리한 작열통이 생기는 것으로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음식을 먹으면 통증이 감소되기 때문에 통증-음식-경감(pain-food-relief)의 주기이다.
(3) 스트레스성 궤양(Stress ulcer)
장기적으로 생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은 여러 가지 스트레스성 궤양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궤양은 위독한 질병이 있는 대상자에게 많이 생기며, 간호사는 이러한 대상자들에게 이런 증상이 일어날 것을 예상해서 이를 방지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스트레스성 궤양의 종류(2가지): Curling's ulcer와 Cushing's ulcer
참고 자료
강경자 외(1996), 성인간호학 하, 정담
강현숙(1997), 기본간호학, 대한간호협회
김노경(1998), 내과지침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서문자(1999), 성인간호학 상․하,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편(1997),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향련(1998), 생리학적 및 임상적 조망, 현문사
임경수(1997), 응급구조와 응급처치, 군자출판사
전시자(2000), 성인간호학, 현문사
최정신(2003), (성인)내․외과 간호학,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