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사관/역사/고려시대까지의역사
- 최초 등록일
- 2005.01.22
- 최종 저작일
- 2004.04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사관이란 무엇인가, 시대 구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역사적의미를 역사론가에의한 정의에 의해서 밝히고, 그 시대구분의 정의에 따라 고려시대까지의 우리역사를 구분하고, 정리해놓은 자료입니다.
한국사를 공부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목차
1.사관 -
■역사가의 정의를 통해 본 역사의 의미
■사관(史觀)
2. 시대구분
3. 한민족의 형성
4. 고대사회(연맹왕국/삼국/남북국시대)
4. 중세사회(고려)
본문내용
2. 시대구분----
시대를 구분함에 있어 절대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시대구분이 있을 수 있고, 혹은 같은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한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이해의 차이 때문에 각 시대의 기점과 종점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한국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지금까지 매우 다양한 시대구분의 유형들이 제시되었다.
시대 구분에 있어서는 사회경제적 요소뿐 아니라 지배 세력의 성격을 비롯한 정치․사회 구조, 사상․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한국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다. 이 경우에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사회 변동과 고려 말 조선 초의 사회 변동이 한국사의 발전 과정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특히 강조되었다. 이는 왕조의 교체를 중시하는 전근대적인 왕조 사관으로의 복귀가 아니다. 그와 같은 정치적인 변동이야말로 사회경제적 변동을 포함한 사회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고대․중세․근대의 3구분법이 서양사회의 발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 주의하고, 또 한편으로는 중국과 일본 등 동양사에서 근대에 선행하는 근세의 개념이 채용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한국사에도 근세를 설정할 것이 검토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의 성립 이후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까지를 고대, 고려 시대를 중세, 조선 시대를 근세, 개항 이후를 근대로 각각 설정하는 시대구분이 제시되어,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도 구석기 시대로부터 청동기 시대까지를 원시 사회, 철기의 사용과 함께 초기 국가가 성립한 이후부터 통일 신라․발해까지를 고대 사회, 고려 시대를 중세 사회, 조선 시대를 근세 사회, 개항 이후 식민지 시대를 근대 사회, 그리고 1945년 광복 이후 현재까지를 현대 사회로 구분해 서술한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1. 사관이란 무엇인가
2.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上 (6차 교육과정)
3. 필기노트
4. 독학국사
5. http://synnic.com.ne.kr/view.h.htm
6. http://100.naver.com/?frm=nt (네이버백과사전)
7. http://www.osan.hs.kr/~casadeco/(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8. http://www.histopia.net/
10.http://www.hisphil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