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망매가에 관한 완벽 리포트!!
목차
Ⅰ. 배경설화 및 어석 대비
1. 배경설화
1) 원문
2) 독음
3) 해석
2. 원문과 독음, 현대어역 및 어석대비
Ⅱ. 문학적 쟁점
Ⅲ. 향가 수록 현황과 지도 방향
1.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향가의 작품 일람
2. 고등학교 향가의 수업 내용
본문내용
3) 해석
경덕왕(景德王) 19년 경자(790) 4월 초하루에 해가 둘이 나란히 나타나서 열흘 동안 없어지지 않으니 일관이 아뢰었다. “인연 있는 중을 청하여 산화공덕(散花功德)을 지으면 재앙을 물리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에 조원전에 단을 정결히 모으고 임금이 청양루에 거동하여 인연 있는 중이 오기를 기다렸다. 이때 월명사(月明師)가 긴 밭두둑 길을 가고 있었다. 왕이 사람을 보내서 그를 불러 단을 열고 기도하는 글을 짓게 하니 월명사가 아뢴다. “저는 다만 국선(國仙)의 무리에 속해 있기 때문에 겨우 향가(鄕歌)만 알 뿐이고 성범에는 서투릅니다.” 왕이 말했다. “이미 인연이 있는 중으로 뽑혔으니 향가라도 좋소.” 이에 월명이 도솔가(兜率歌)를 지어 바쳤는데 가사는 이러하다.
오늘 여기 산화가(散花歌)를 불러, 뿌린 꽃아 너는
곧은 마음의 명령을 부림이니, 미륵좌주(彌勒座主)를 모시게 하라.
이것을 풀이하면 이렇다.
용루(龍樓)에서 오늘 산화가(散花歌)를 불러, 청운(靑雲)에 한 송이 꽃을 뿌려 보내네.
은근하고 정중한 곧은 마음이 시키는 것이어니, 멀리 도솔대선(兜率大僊)을 맞으라.
참고 자료
구본기(1992), 「제망매가의 시적 구성과 의미 - 화자와 청자 사이의 인식론적 거리 -」, 『한국고전시가작품론』(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 집문당.
김동욱(1961), 「신라향가의 불교문학적 고찰」,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김성기(1997), 「두율가와 제망매가에 드러난 신라인의 불교 수용」, 한국고문연구회.
김승찬(1986), 『향가문학론』, 새문사.
김운학(1976), 『신라불교문학연구』, 현암사.
김종우(1971), 『향가문학론』, - 그 성격, 사상을 위한 연구 -, 연학문화사.
나경수(1994), 「월명사의 신분과 향가작품의 관계」, 한국언어문학회.
박노준(1979), 『제망매가고』, 인문과학 42,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박노준(1982), 『신라 가요의 연구』, 열화당.
성호경(2001), 「향가 작품의 시적 구조와 난해 어구의 의미 범주」, 한국시가학회.
신재홍(2000), 『향가의 해석』, 집문당.
이수호(1971), 『제망매가고 - 향가』, 영대문화 4, 영남대.
이재선(1972), 「신라향가의 어법과 수사, 향가의 어문학적 연구」(김열규, 정연찬, 이재선 공저)
이재선(1979), 『향가의 이해』, 삼성문화문고.
조동일(1982), 「향가의 작품세계」,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