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작가론
1) 가계
2) 생애
3) 교류
4) 배경
2. 작품론
1) 임제 한시의 형식
2) 임제 한시의 시세계
(1) 호기의 성정
(2) 탈속의 성정
(3) 자상의 심정
(4) 염정의 정리
3) 문학사적 위상
Ⅲ 결론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임제의 원시조는 나주 임씨 족보를 보면 임자로 되어 있다. 「고려사」세가 권 삼십 충렬왕 15년 3월조에 “충정도지휘사대장군임자”라고 하였으니 임자는 무인 대장군으로 활약한 사람임을 알 수 있다. 「나주임씨백호송파보」에 의하면 임자의 자손은 대대로 문관 혹은 무관을 지낸 것으로 되어 있다. 제 9대 손인 탁이 봉순대부로 해남현감무로 있었을 때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함에 그 절조를 고수하여 그 벼슬을 버리고 본관지인 나주에 거주한 후부터 이곳이 주된 본거지가 되었다. 이자의 14세손 평(1462~1522)은 전라도병마우후를 지냈으며, 그의 아들 15세손인 붕(1486~1553)은 생원과의 소과를 거쳐 별식문과에 급제하여 경주부윤, 광주목사를 지냈다. 붕은 아들 익, 복, 진, 몽 등을 두었는데
한 작가의 시를 전반적으로 살피기 위해서는 그가 처한 당시의 상황을 살피고 그의 삶을 살피는 것이 작품을 살피는 것과 동등하게 가치 있음은 언급할 필요가 없을 만큼 중요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역시 임제의 한시 전반을 살피기 위하여 그의 전반적 상황을 살피는 일을 함께 행하고자 한다. 즉, 작가론과 작품론으로 양분하여 그가 처했던 상황을 살피고 그의 작품을 살핌으로써 그의 작품의 내밀한 의도를 살피고자 한다.
우선 작가론에서는 그의 가계를 살핌으로써 그의 성장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의 전체적인 생애를 살핌으로 그의 작품 세계가 구축된 당위성을 찾아보겠다. 또한, 그의 교류를 연구함으로써 그가 어떠한 인물들과 교류하여 작품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가를 살피고 이어 그가 살았던 시대의 전반적인 상황을 살필 것이다. 즉, 문학적 배경과 시대적 배경을 통하여 백호 임제가 처했던 여러 주변 환경 요인을 살피는 것이 그의 작가론의 전반적인 개요이다.
다음으로 그의 작품에 관해 본격적으로 논할 것인데 여기에서는 그의 작품집인 「백호집」을 중점으로 살피도록 하겠다. 「백호집」에 수록된 그의 시를 통하여 임제 한시의 형식과 그가 사용한 제제들을 두루 살피고 이어 그의 시세계를 다섯 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 각각의 시세계를 다루도록 하겠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면 당시의 제가들의 백호에 대한 논평을 다루고 작품론의 끝으로 백호의 한시의 문학사적 의의(위상)를 다루고 이를 총정리 하는 방식으로 본고를 구성하려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