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 가족과 친족에 관한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04.12.16
- 최종 저작일
- 2004.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문화인류학) 가족과 친족'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전반적인 내용구성의 흐름은 `목차`와 `내용요약`을 참고하시고요.
3권의 관련서적을 참고로 정성껏 작성했습니다.
편집도 깔끔하게 했고요.
과제 작성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목차
1. 家族(family)이란?
2. 가족(family)의 어원 :
3. 유사개념들
4. 가족의 특성
5. 가족의 기능
6. 가족의 유형
7. 가족의 변화
1) 유럽 가족의 변화
2) 세계 가족 유형의 변화 방향
3) 한국 가부장제의 유형
8. 출계의 개념
9. 출계에 관한 이론
본문내용
1. 家族(family)이란?
우리는 흔히 가족을 성과 혈연의 유대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생물학적 사회집단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가족은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가족이 시대와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적 산물이라는 것을 자 의식하지 못한다. 우리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이는 가족간의 유대가 사실은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문화적, 도덕적 이데올로기에 싸여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족유형은 인류의 다양한 민족과 문화만큼 그 모습이 다양하여 한마디로 정의 내려 유형화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그 정의도 학자별로 무척 다양하다.
2. 가족(family)의 어원 :
家族이라는 한자어의 기원은 중국의 唐書인 것 같으며, 1戶의 戶籍에 在籍하는 자를 뜻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 한자어를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으며 문헌기록에서도 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일본이 명치시대이후 외래어 family를 번역하면서 家族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후 이것이 수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때 일본에서는 家族을 혈연 이외의 친족이나 하인도 포함한 개념이었으며, 특히 법률용어로서 사용되었던 것이다.
동서양 모두에게 식사를 같이 한다는 의미로 가족의 개념을 상징하는데 불과 솥이 사용되었다. 중국의 경우 부엌(㸑)을 공동으로 하고 솥(鍋兒)밥을 먹는 것이며, 同居同財는 禮記의 시대부터 이미 同㸑으로 표기되었다. 일본에 있어서도 집을 뜻하는 イエ가 부엌을 뜻하는 he에 접두사 i가 붙은 것이다.
family의 어원은 고대 희랍어의 가족을 나타내는 επιτσιου는 “부엌 옆의 것”이라는 뜻이되며, 가족이란 같은 부엌신에 기원하고 동일선조에 제사를 드리는 것을 허용받은 사람들의 일단이라는 뜻이었다. 가족을 뜻하는 불어나 이태리의 고어는 모두 불feu, fuoco이란 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참고 자료
1. 한상복 외 지음, 문화인류학 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2. 한국문화인류학회 지음,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2003.
3. 로저키징 지음, 전경수 옮김, 현대문화인류학, 현음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