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 의병과 독립군의 연계성
- 최초 등록일
- 2004.11.29
- 최종 저작일
- 2003.10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근대사 과목 시간 레포트였습니다. 작성시기 가운데 '월'은 정확히 기억이 안나서 대략적인 시기를 적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정미의병(丁未義兵)의 이전의 의병 활동
1. 갑오․을미의병
2. 을사의병
Ⅲ. 정미의병의 활동
1. 군대해산과 의병전쟁으로의 확대
2. 서울 탈환 작전의 실패
Ⅵ. 독립군의 형성
1. 호남 의병의 활약과 일본군의 대토벌 작전
2. 1910년 8월 전후의 의병 활동과 독립군의 형성
Ⅴ.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의병운동은 한말 시기 일제에 맞서서 벌인 반일 구국 운동으로 근대에 들어와 일제가 조선을 침략하여 단계적인 식민지화를 추구하자 1985년부터 유생층은 물론이고 평민들까지 참여한 무장독립투쟁이었다. 당시 의병운동에 참여한 양반 유생과 평민의병들이 신분과 처지에 따라 사회내부의 문제를 보는 시각이 달랐지만, 일제의 식민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공통의 적이 있음을 인식하고 국권회복이라는 같은 목표를 두고 국권회복을 위해 투쟁을 해나갔다. 그리하여 일제가 무력으로 진압하는 과정에서도 꾸준히 의병활동을 전개하였고 이후 항일 무장 투쟁의 근간이 되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간단히 의병운동의 전개과정과 성격에 대해 서술한 후 1907년에 발생한 정미의병과 한일합방이 체결되는 1910년의 국내외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의병활동이 후에 독립군을 중심으로 하는 항일 무장독립투쟁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밝혀보려고 한다.
참고 자료
김윤환 외, 『의병들의 항쟁』, 민문고, 1995
김태웅,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6권 근대편, 솔, 2003
김호성, 『한말 의병 운동사 연구』, 고려원, 1987
신용하, 『의병과 독립군의 무장독립운동』, 지식산업사, 2003
양희섭, 「한말 항일 무장 독립투쟁에 대한 일고찰」, 동국대학교, 1987
조영진 외, 『항일무장 독립투쟁사』, 일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