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김옥균을 통해 본 갑신정변
*현*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김옥균의 생가와 갑신정변이 일어난 장소를 모두다 답사하고 3차의 토론으로 걸친 근현대사에 양질의 레폿입니다.목차
1.서론▪김옥균을 연구하게된 이유나 동기.
▪보고서의 나아갈 방향
2.본론
▪갑신정변에 전반적인지식(논문및여러자료)
▪김옥균의 생애와 사상:
1)김옥균의 성장과정
2)개화사상가 김옥균
3)갑신정변 지도자로서의 김옥균
4)망명 시기 김옥균의 활동과 그의 최후
5)대외명분으로서의 김옥균,
예술가로서의 김옥균
▪그밖에 다양한 시각으로서의 김옥균
(소설, 무성영화, 연극등)
▪4차 토론첨부
1)갑신정변에 결과에 대한 찬반 토론 및 평가
2)갑신정변과 현대사회의 비교
3)갑신정변에 연관된 주체적 인물
4)김옥균의 활약에 대한 찬반 토론및 평가.
▪답사코스 선정 ▫김옥균의 생가
▫김옥균의 비
▫김옥균의 피신장소인 명월암
3. 결론
▪김옥균의 대한 전반적인 토론 및 평가 첨부
본문내용
갑신정변은 우리 스스로 근대화하여 냉혹한 제국주의 국제질서에서 살아 남고자 했던 개화기 근대화운동의 한 방편과 과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1884년 김옥균을 중심으로 하는 개화당 핵심 인물들이 우정국 낙성식 1884. 5. 정변모색 1884. 12. 4. 우정국 창설축하 모임 ☞ 민비축츨을 위한 살해,재거.
1884. 12. 6. 혁신정강 16개조 발표
을 기회로 일으킨 갑신정변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시대와 상황, 그리고 누가 평가의 주체가 되느냐에 따라 여러 갈래로 엇갈리어 왔다. 그뿐 아니라 갑신정변 차제가 실학사상의 발전을 통하여 얻어진 자주적 近代意識의 맥락속에서 그 사상적 기반이 이해 될 수 있는 반면, 그것이 밖으로 드러낸 양상에서는 외세와의 결탁 내지는 의존적인 측면도 엿보이기 때문에, 評價의 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결론이 도출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갑신정변에 대한 평가를 함축하는 것으로서〈근대화운동의 선구자〉〈위로부터의 부르조아 개혁을 위한 쿠데타〉〈근대 한국민족주의의 선구적인 運動〉혹은〈정치세력 간의 주도권 경쟁〉등의 다양한 표현이 제기 되어 왔다. 이들 각각의 논거를 중심으로 갑신정변의 평가를 살펴보는 것이 실로 중대하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 조는 갑신정변에 성격이 명확히 밝혀지기 위해서는 갑신정변을 주도적으로 이끈 김옥균의 생애를 연구하고 그가 가졌던 사상을 알아보고, 분석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김옥균과 그를 중심으로 펼쳐진 갑신정변을 분석하기로 하였다.
김옥균은 아다시피 세계의 상황 속에서 조선을 근대국가로 이끌게 한 개화파의 선구자이다. 본 보고서는 김옥균의 생애를 통해 그가 가졌던 사상을 알아보고 초기개화파 인사들과 관계 속에서 그의 사상과 그를 중심으로 펼쳐진 갑신정변의 성격을 알아보았다. 본 보고서에는 4번의 토론으로 갑신정변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갑신정변을 두고 여러 가지 각도에서 토론 및 평가를 하였고, 전반적인 갑신정변에 대한 개요. 그리고 여러 가지 시각에서 본 김옥균에 대한 자료(소설, 무성영화, 연극, 논문 등등)를 정리해보았고 그것을 통해 알게된 갑신정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고 자료
『교과서 국사(하)』『초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의 연구』 신용하 지식산업사
『갑신정변과 김옥균』 문봉기 한국문화협회
『한국근대 개화사상과 개화운동』 한국근현대사회연구회 서울 신서원
『한국의지성100년개화사상가에서 지식게릴라까지』 강만길 민음사
『소설 갑신정변』 이남희 플빛
『역사바로보기』 강만길
『김옥균 전기』 황문수 문원
『김옥균』 주진오 역사비평사
『金玉均 全集』 김옥균 (金玉均) 亞細亞文化社
www.naver.com 에서의 김옥균관련 싸이트.
www.yahoo.co.kr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김옥균의 개화사상과 갑신정변 9페이지
- 갑신정변에 대한 비판적 고찰 13페이지
- [사학] 김옥균의 사상과 생애에 대해서 9페이지
- 갑신정변에 대해 8페이지
- [김옥균] 김옥균 연보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