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Ⅱ. 다자주의의 본질
Ⅲ. 동아시아와 다자주의
Ⅳ. 동북아 지역에서의 다자안보협력의 유용성
Ⅴ. 한국의 다자안보정책
본문내용
탈냉전 시대의 도래에 따른 글로벌 차원의 국제환경의 변화 즉, 세계질서의 다원화 및 국제사회의 다극화, 경제적 비중 및 상호 의존 증대, 하이테크 시대의 도래와 첨단기술의 전략적 가치의 제고 등에 따라 안보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탈냉전 시대의 도래에 따른 안보환경의 전환기적 변화는 역내 국가들로 하여금 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을 모색토록 하고 있다.냉전시대에는 안보의 개념이 통상적으로 군사안보를 지칭하였으나, 냉전이후 시대에는 군사적 안보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을 망라하는 포괄적 안보 (Comprehensive Security) 개념으로 변하고 있다. 동북아지역에는 한반도 문제, 대량파괴무기 확산문제, 영토 분쟁 가능성 등 불안정 요인이 상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테러, 환경오염과 같은 새로운 안보위협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9.11. 테러이후 탈-탈냉전(Post Post-Cold War Era)의 시대에 유일한 초강대국인 미국도 불량국가 및 테러집단이 가하는 비대칭적 위협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으며, 테러 집단이나 불량국가들이 대량 파괴무기를 획득하거나 컴퓨터망을 파괴시킬 수 있는 비대칭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공조 필요성이 점증하고 이에 따라 협력 안보 (Cooperative Security)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냉전종식후 동서진영간의 대결이 해소됨에 따라 양자간 동맹관계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가운데 안보, 경제, 환경 등 각 분야의 국가간 협력에 있어서 다자주의(multilateralism) 방식이 크게 증대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다자주의라는 개념의 구체적인 의미를 알아보고 다자주의를 바탕으로 한 다자협력의 의미와 논리, 그리고 동아시아 지역에서 다자안보협력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유럽의 경우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동북아지역에서 다자안보협력의 필요성과 역할을 검토한 후, 동북아 및 한반도에서의 다자안보협력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1)김용호 “양자주의와 다자주의 : 동아시아의 현황과 전망”, 「환동해권 협력의 국제정치경제 세미나보고서」, 98.1. 외교안보연구원.2)신욱희, "다자주의의 동아시아 적용의 문제," 「한국과 국제정치」, 제13권 제1호 1997. 봄ּ여름호.
3)이상균,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축 방안 : 유럽의 경험과 한국의 선택”, 「국가전략」 1997년 봄ּ여름호.
4)이원우, “지역다자안보협력 현황과 우리의 대응방향”, 「한반도 군비 통제」, 1998.8. 국방부.
5)김태현,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체의 구상, ”「지역연구 논총」 제6집(한국 지역연구협의회, 1994),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상 : 그 이상과 현실,” 「국제문제」 2000.4.
6)박영호, “통일과정 및 통일후 한반도 다자안보협력 방향”, 통일부 정책 보고서, 1999.7.
7)배정호, “21세기 한국의 국가전략과 안보전략,” 「연구총서 2000-19」, 통일연구원.
8)엄태암, “한반도 안보와 동북아 6자회담 - 가능성과 실효적 추진 방안을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1999년 여름.
9)조준래, “동아시아의 안보관계 : 쌍무주의와 다자주의의 상호보완“, 「국방논집 제40호」, 1997년 겨울.
10)이서항, “동북아 다자간 안보대화ּ협력의 모색 : 한국의 입장,” 「지역연구논총」 제5집, 한국지역 연구협의회, 1993 ; “동북아 및 아ּ태지역 다자간 안보협력 추진방향 : 개념 및 접근 방법,” 외교안보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93-12), 1994 ; 동아시아의 다자안보 대화,“「21세기 동아시아와 한국」, (오름, 1999)
11)한동만,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현황과 전망“, 외무부 정책 자료집 (98-2), 1998.3.
12)백진현, “한반도 평화체제와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 곽태환 외「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서울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13)홍규덕, “21세기 동북아 안보협력체 구상에 대한 전망과 과제,”「외교」, 제53호(2000.4.).
14)Robert O. Keohane, "Multilateralism : An Agenda fo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45 (Autumn, 1990).
15)James A. Caporaso,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Multilateralism : The Search for Foundations," John Ruggie(ed.), Multilateralism Matters(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16)Lee Seo-hang, "Security Cooperation in East Asia : Multilateralism vs Bilateralism", IFANS Review, Vol. 7 No. 1 June 1999.
17)Brian Job, "Matters of Multilateralism : Implications for Regional Conflict Management" In David A. Lake and Patrick M. Morgan, eds., Regional Orders : Building Security in New World(University Park, PA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7).
18)Andrew Mack,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 Problems and Prospects,"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Vol. XI, No. 2, Summer 1992.
19)Robert O. Keohane, After Hegemo<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