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Principle
* 단백질
1) 단백질의 정성 반응
① Biuret 반응
② Ninhydrin 반응
③ Xanthoprotein 반응
④ Millon 반응
⑤ Hopkins-Cole 반응
⑥ pauly 반응
⑦ Sakaguchi 반응
⑧ Nitroprusside 반응
⑨ 침전 반응
2) 단백질의 정량
(1) Barnstein 법
(2) Stutzer 법
(3) Trichloroacetic acid 법
(4) Lowry 법
(5) Biuret법
(6) Kjeldahl 질소 정량법
(7) Bradford 법
3)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1) 분광광도계의 구성
(2) 분광광도계의 사용법
6. Regent & equipment
7. Method
8. Result
9. Discussion
10. Refference
본문내용
1) 단백질의 정성 반응
단백질은 여러 종류의 시약과 반응하여 고유의 색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특수한 아미노산의 잔기나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와의 바능으로 나타나는 정색반응이다. 이 반응을 통하여 단백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① Biuret 반응
단백질 용액 3ml에 1% CuSO4 수용액을 가하고, 여기에 10% NaOH 용액 3~5ml을 가하면 적자색 또는 청자색을 나타낸다. 이 반응은 두 개 이상의 카아바닐기를 가진 화합물과의 반응으로 단백질은 펩티드결합을 가수가지고 있어서 구리 이온과 착염을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정서뿐만 아니라 정량에도 이 방법이 이용된다. 이 방법은 Kjeldlahl방법보다도 경제적이고 신속하며 간단하게 분석 할 수 있는 방법으로 Lowry방법, 자외선 흡수법, 혼탁도를 이용하는 방법보다도 색소성분에 의한 영향이 적고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비교적 적다. 이 방법은 비펩티드나 비단백질의 질소와는 반응하지 않는다. 반면 Lowry방법보다는 감도가 떨어지며 적어도 2~4mg의 단백질이 있어야 측정이 가능하다. 고농도의 암노니움염이 존재하면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색깔이 약간 변한다. 예를 들면 젤라틴의 경우 분홍색을 띤 자주빛을 보인다. 많은 양의 지방이나 탄수화물이 있므면 불투명해지기도 하며, 알려진 단백질에 의해 색이 표준화되어야 하는 단점을 안고 있다.
참고자료
· 식품분석
· 조덕재 외
· 1990, 2, 10
· 식품분석학
·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 간국희 외 3명
· 1998, 3, 31
· 최신식품화학
· 신광출판사
· 신효선 외
· 2000, 3, 2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