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남북국시대론]남북국시대론의 비판적 검토

*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4.11.06
최종 저작일
2004.11
4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EasyAI 홍보배너

소개글

또한 ‘고려국왕’ 이라는 자칭에 관해서는 이미 石井正敏 의 치밀한 사료고증이 있듯이, 石井政敏, 1975「日渤交涉における渤海高句麗繼承意識について」『中央大學大學院硏究年報』4
발해를 일찍이 말을 낮추어 조공해온 적이 있는 노태돈,「對渤海日本國書에서 云謂한 『高麗舊記』에 대하여」는 일본측에 전해지는 고구려의 대일외교의 이러한 자세를 고구려멸망 후에 신라 영역내의 金馬 에 安 된 高句麗遺民政權에 의한 대일외교의 소산으로 보고 있다.
고구려로 간주하려는 일본측의 대응과 정책적 의도를 짐작하고, 외교교섭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취해진 일종의 겉치렛말 같은 성격을 띤 방책이었던 점은 움직일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 발해의 견일사에 주어진 答書〔『속일본기』권19, 天平勝寶 5년 6월 정축조〕에서 고구려의 옛날의 예를 따라서 끝까지 군신관계의 國書形式을 받아들이고자 한 말을 비롯해, 발해사신에 대한 일본측의 일련의 시대착오적인 대응을 본다면, 충분히 설득력있는 견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石井의 실증을 무시하고 쓰여져 있는 字句를 맥락과는 관계없이 추축하여 그것을 문자대로 하나의 뜻으로 밖에 해석하려고 하지 않는 자세에는 강한 의문을 느낀다. 노태돈은 石井의 주장을 비판하며, 일본측의 시대착오적인 요구에 발해측이 응했다고는 인정되지 않는 것을 논하고, 뒤의(771년) 양국간의 국서를 둘러싼 분쟁에서도 발해가 자국의 우월성을 주장하고 있는 점을 그 傍證으로 삼고 있다〔「대발해일본국서에서 운위한 『고려구기』에 대하여」, p.624~5〕. 그러나 발해의 일본에 대한 관계에 대해서는, 타협적인 외교를 강요당한 바로 그 초기에 어떠한 국제환경 속에서 맺어졌는지가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ㆍ국제적 조건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아래의 여러 논문을 참조. 石井正敏, 「日本通交初期における渤海の情熱について-渤海武ㆍ文兩王交替期を中心として」(『法政史學』25, 1973년)과 「初期日渤交涉における一問題-新羅征計畫中止との關連をめぐつて」(『史學論集 對外關係と政治文化』1, 吉川弘文館, 1974년) ; 酒寄雅志, 「入世紀における日本の外交と東アアのジ情熱-渤海との關係を中心として」(『國史學』103, 1977년).

목차

없음

본문내용

발해사를 한국사로 설정하는 입장에서의 발해사 연구를 구체적으로 비판ㆍ검증해 가고자 한다. 발해사를 한국사 체계에 넣는 논거는 박시형의 ‘발해의 혈통 자체와 문화는 오늘날의 조선민족의 혈통과 문화전통의 중요한 구성분자가 되고 있다 라는 말이 상징하고 있듯이, 결국 민족ㆍ종족문제에 수렴되어 있다고 말해도 좋다. 그 경우에 발해의 영역에 그 前史로서 있던 고구려사는 한국사에 없어서는 안될 일부이다. 그리고 고구려인은 한국 민족이라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발해를 한국사에 위치 지우는 작업은 우선 발해의 민족ㆍ종족상의 고구려 계승관계를 논증하는 것이 그 중심적 과제로 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
*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조선후기에 나온 저서 5페이지
    편으로 구성되었습니다.유득공은 발해와 통일신라가 양립하던 시대남북국 ... 와 발해를 ‘남북국(南北國)’이라 지칭하며, 그 시대를 ‘남북국 시대 ... 습니다.유형원이 지은 반계수록은 고려 시대와 중국의 사례를 들어 비교하면서 조선
  • 만들어진 고대 서평 3페이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저자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 ... 한다. 한국은 ‘남북국 시대’로 발해와 통일 신라가 존재하던 시기를 정의 ... 들의 믿음, 시대의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찾
  • 경북대학교 한국사 중간고사 예상 답안정리 8페이지
    검토하여 밝히는 외적 비판과 사료에 사용된 던어 의미와 역사적 사실일치 ... , 남북국 시대란 용어 문제도 있었으며 주민과 영토전부가 남김없이 편입 ... 민족 통합정책에 대해 설명하시오.4. 조선시대의 과학에 대해 서술하시오.5
  • 한국미술사 회고와 전명 5페이지
    , 남북국, 고려, 조선, 근대로 나누었고, 각 시대별로 회화, 조각, 도자 ... 의 논의1. 활발한 단행본 출간2. 주제별로 본 회화사 연구 성과3. 시대 ... 한 것으로 미술사는 전 국민을 위해 서비스하는 미술사의 대중화 시대가 되
  • [만들어진 고대] 서평 4페이지
    여, 요즘은 “남북국 시대론”을 강하게 주장하는데, 이는 현대의 분단 ... 하며,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주장하고 있다. ... 에서 해방되어 조금 더 미래를 시야에 두고 세계화 시대에 세계 자율 시민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영화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시사회 초대 이벤트
  • 뮤지컬 마타하리
유니스터디 이벤트
[남북국시대론]남북국시대론의 비판적 검토
  • 뮤지컬 마타하리
AI 챗봇
2025년 02월 0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