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환경문제란 무엇인가?
2. 환경문제의 실태와 성격(지구의 건강을 위협하는 제 요소)
3. 환경 교육의 의의와 필요성
4. 외국의 환경교육과 시사점
5. 우리나라 환경 교육의 현황과 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오늘날 세계 모든 나라의 당면 과제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구 환경을 보전하고,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을 발전시켜 나가는데 있다. 지난 세기의 급속한 경제발전의 대가로 치러야만 했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1992년 브라질 리오의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세계정상들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본원칙인 『리오선언』과 실천행동계획인 『의제21』을 채택하였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2002년 9월 지속가능발전정상회의(WSSD)가 개최되었고 그 동안 진행되었던 『의제21(Agenda 21)』의 이행성과를 평가하였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실천계획인 『WSSD 이행계획』과 그 실천의지를 담은 『요하네스버그 선언문』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지구환경보고서(State of the World 2002), 월드워치연구소 저, 오수길 외 공역, 도요새, p.19.
참고 자료
김남일(2000), 『인간. 환경. 교육』, 춘천교육대학교 출판부
김명철(1999), 『인간과 환경』, 녹문당
남상준(1995), 『환경교육론』, 대학사
남상준(1999),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원미사
배규환(1995), 『미래사회학』, 사회비평사
월드워치연구소 저(2002), 『지구환경보고서(State of the World)』, 오수길 외 공역, 도요새
유네스코(1980), 『환경교육의 세계적 동향(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김귀곤역, 배영사
이종문·박찬석·김억환 공저(2000), 『미래사회와 교육』,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최운식(1999), 『미래사회와 환경』, 한울아카데미
Michael, D. N.(1976), 『미래사회(The Unprepared society)』, 김여수 역, 을유문화사
김대희(1996), ꡒ지속적 사회를 위한 환경교육의 발전방향ꡓ, 한국직업교육학회
김동희(2004), ꡒ독일의 환경교육ꡓ, 한국독일언어문학회
김만제(1992), ꡒ환경오염과 환경교육ꡓ, 교육월보, 통권126호,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김수욱 외 3인(2004), ꡒ사이버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ꡓ, 한국농업교육학회
김정언(1997), ꡒ창조적 교수 - 학습을 통한 환경교육ꡓ, 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