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촌락사
- 최초 등록일
- 2004.11.01
- 최종 저작일
- 2004.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촌락의 조건
1. 농경의 시작과 정착생활
2. 벼농사의 시작과 계급사회의 등장
3. 읍락 사회의 성립과 발전
4. 촌제(村制)의 등장 -읍락에서 촌으로
5. 철제농기구와 우경
6. 촌제하의 촌락사회
7. 통일신라
8. 고려시대의 촌락지배형태
9. 조선 전기 촌락의 발달과 분화
.......
본문내용
●촌락의 조건
1) 사회 문화적 통일성 : 동일한 언어, 제사 심볼, 신앙체계, 조상의 동일
2) 지리적 공간의 점유 : 경제활동 및 생산활동
3) 협동 : 사회관계의 바탕, 혼인, 사회교환
1. 농경의 시작과 정착생활
·신석기 이전의 시대 : 자연동굴 등지에서 거주
·신석기 시대 : 정착생활/ 움집/ 밭농사(황해도 지탑리, 평양 남경유적에서 조, 피, 수수 등의 곡물 발견 ) 목제 농기구와 석기, 토기/ 사냥과 어로활동은 중요한 생업(서울 암사동, 송죽리 유적)/ 밴드사회/ 촌장과 주민의 관계는 지배-피지배 관계가 아님
2. 벼농사의 시작과 계급사회의 등장
·군장사회이며 지석묘
·청동기 : 기원전 1000년대, 청동공구의 발달로 다양한 목제농기구가 제작되어 농업생산향상, 벼농사의 시작 (여주 혼암리, 부여 송국리, 평양 남경에서 볍씨 발견/ 울산 무거동 옥현유적에서는 청동기 시대 대규모의 마을 유적과 함께 논이 발견)
·밭농사도 계속됨 : 경남 진주의 남경 변에 위치한 대평들, 터밭, 무덤
·정착생활, 인구증가로 인해 갈등 발생 : 경지, 물, 도구원료 확보를 위해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