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의학에서 간담췌(간, 담낭, 췌장)로 묶이는 담낭은 기름진 음식의 소화를 돕는 작은 기관이다. 담낭에 관련된 질환은 당뇨병이나 비만, 과식, 불규칙한 식사에 의해 발병하기 쉬운 질환으로 특히, 담낭 용종은 매우 흔하여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정상인에서 3~7%의 빈도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낭은 우리 몸에 큰 지장을 주지 않지만 담낭 용종에서부터 시작되어 담낭암으로 이어지면 5년 내 생존율이 매우 낮아 주의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는 수술실에서 흔히 진행되는 복강경 담낭 절제술에 초점을 두어 환자에게 어떠한 간호와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는 지 학습하고자 한다. 실제 간호사례에 따른 적절한 간호 방법을 익히고, 진단하고, 수행하는 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조사하여 간호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본 사례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 서울대학교병원, “담낭 용종”,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09&cid=51007&categoryId=51007,
· 한국간담췌외과학회, “복강경 담낭절제술”,
· https://www.kahbps.or.kr/patient/index.kin?gubun=1,
· 약학정보원, “로와콜연질캡슐”,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3057,
· 서울아산병원, “노자임 캡슐”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NOZY,
· 서울아산병원, “스티렌 투엑스 정”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STILL2X90,
· 약학정보원, “모티리톤정”,
·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051800003,
· 약학정보원, “일동후루마린주사”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40A0180,
· 약학정보원, “스파탐주”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371,
· 약학정보원, “가스터주사액”
·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22081200005,
· 약학정보원, “아세트펜프리믹스 주”
·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110800006,
· 서울아산병원, “혈액검사”,
·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520,
· 이춘택병원, “염증 수치를 알아보는 혈액검사”,
· https://blog.naver.com/lctpw0303/223067848372,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수술 후 관리”,
·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RC&MENU_ID=006029013,
·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21년, p.418~424
·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2013년, p.169~183
·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1년, p.229~232
· 성미혜 외,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2015년, p235-321.